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7.
《두 친구 이야기》
안케 드브리스 글/박정화 옮김, 양철북, 2005.11.18.
오늘까지 더 쉰다. 어제보다 등허리가 한결 낫다. 아침에 씻으면서 빨래를 하는데 욱씬욱씬한다. 손빨래를 마치고서 밥을 짓는다. 큰아이가 어느새 다가와서 “뭘 도울까요?” 하고 묻는다. 혼자 다 할 수 있으나, 작게 도울 일거리를 하나씩 들려준다. 밥과 국을 지었으나 나는 얼마 들지 않는다. 힘을 다하였으니 새삼스레 누워서 앓는다. 저녁에 또 세 사람이 등허리를 꾹꾹 밟고 주무른다. 왼옆구리는 거의 풀렸다. 이튿날에는 나래터를 다녀올 만하리라 본다. 《두 친구 이야기》를 오랜만에 들춘다. 아이들하고 새롭게 읽을까 하다가 내려놓는다. 줄거리라든지 두 아이가 나아가려는 새길은 반짝이고, 차근차근 짚으면서 응어리와 실타래를 풀어가는 길은 눈여겨볼 만하다. 아프고 힘든 아이와 어른 모두한테 이바지할 만하다고 본다. 그런데 시골이나 들숲바다에서 고요히 살림을 짓는 하루를 그리는 사람한테는 ‘또다른 연속극’일 수 있다. 살림씨앗이나 살림그림보다는 생채기와 멍울로 기울 만하다. 그러고 보니, 네덜란드말로 나온 이 책은 “멍”이나 “푸른 자국”이라는 책이름이다. 책이름부터 “멍”이니, 어버이한테서 얻어맞으며 사랑을 잊어버릴 뻔한 아이가 마음동무를 만나서 이제 멍은 멈추고서 스스로 일어서려는 길이지.
#AnkedeVries
#Blauwe plekken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