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20 : 탐 벽(癖) 벽(壁) 문(文) 문(門) 한번
탐은 벽(癖)인데 그 벽이 이 벽(壁)이 아니더라도 문(文)은 문(門)이라서 한 번은 더 열어보고 싶었다
→ 샘은 버릇인데 버릇이 이 벼락이 아니더라도 글은 길이라서 더 열어 보고 싶다
→ 시샘은 길드는데 길들면 담이 아니더라도 글은 길이라서 더 열어 보고 싶다
《아름답고 쓸모없기를》(김민정, 문학동네, 2016) 5쪽
한자로 말장난을 하기에 나쁘지는 않습니다만, 시샘이나 샘이 어떻게 솟거나 흐르는가 하고 짚자면, ‘벽(癖)·벽(壁)’과 ‘문(文)·문(門)’을 맞물려서 ‘버릇·벼락(벼랑)’과 ‘글·길’로 엮을 만합니다. ‘길들다·담(울·울타리)’과 ‘쓰다·열다’로 엮어도 될 테고요. 닫아걸기에 길들고, 쓰기에 열어요. 담지만 닫히거나 단단하고, 그리면서 길게 내다볼 수 있습니다. ㅅㄴㄹ
탐(貪) : 1. 가지거나 차지하고 싶은 마음 2. [불교] 육번뇌의 하나. 자기의 뜻에 잘 맞는 사물에 집착하는 번뇌이다
벽(癖) : 1. 무엇을 치우치게 즐기는 성벽(性癖) 2. 고치기 어렵게 굳어 버린 버릇
벽(壁) : 1. 집이나 방 따위의 둘레를 막은 수직 건조물 2. 극복하기 어려운 한계나 장애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관계나 교류의 단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문(文) 1. 학문, 문학, 예술 따위를 무(武)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2. [언어] 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는 것이 원칙이나 때로 이런 것이 생략될 수도 있다 = 문장
문(門) : 1. 드나들거나 물건을 넣었다 꺼냈다 하기 위하여 틔워 놓은 곳. 또는 그곳에 달아 놓고 여닫게 만든 시설
한번(-番) : 1. 지난 어느 때나 기회 2. 어떤 일을 시험 삼아 시도함을 나타내는 말 3. 기회 있는 어떤 때에 4. 어떤 행동이나 상태를 강조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 5. 일단 한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