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5.1.29. 사용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모처럼 ‘사용’이라는 한자말을 놓고서 통째로 손질해 봅니다. 아마 1998년에 첫글을 썼고, 2012년에 새로 추슬러서 다시 썼고, 2018년에 또 뜯어고쳤는데, 2025년에 새삼스레 확 갈아엎습니다. 스물 몇 해에 걸쳐 뜯어고치고 갈아엎으며 모은 보기글은 고작 90꼭지입니다. 어느 한자말은 이미 200이나 300꼭지를 넘겼고, 500꼭지나 800꼭지 넘게 보기글을 모은 한자말도 있습니다. 저는 책에서 찾아낸 보기글만 모으니 이만큼인데, 사람들이 그냥그냥 흔히 써서 이제는 ‘우리말’로 여겨야 한다고 보는 분이 많아요.
이렁저렁 글손질을 하면서 낱말책을 추스릅니다. 누가 널리 쓰거나 오래 썼기에 굳이 아이들이 꼭 써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더구나 국립국어원 낱말책에 실렸기에 먼먼 뒷날까지 물려주어야 할 낱말일 수 없어요. 저는 우리 아이뿐 아니라 이웃 모든 아이한테 “너희 나름대로 스스로 생각해서 길을 찾고 마음을 틔울 말씨를 느끼고 노래하렴”이라는 뜻으로 ‘글손질 + 낱말책 엮기’를 합니다.
낱말을 다룰 줄 알기 앞서 마음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합니다. 낱말을 부릴 줄 알기보다는 살림을 꾸릴 줄 알아야 합니다. 뜻을 세우는 사람이라면 날마다 배웁니다. 뜻을 안 세우는 사람이라면 마지막으로 눈감는 날까지 영 안 배우더군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