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13 : 모종의 신비감 전문가 장인 지성미
모종의 신비감과 함께 수수하면서도 전문가나 장인다운 지성미가 넘쳐 보이는
→ 별쭝나고 수수하면서도 뛰어나거나 훌륭해 보이는
→ 궁금하고 수수하면서도 빼어나거나 멋져 보이는
《위저드 베이커리》(구병모, 창비, 2009) 9쪽
어쩐지 달라 보이기에 수수하지만 뛰어나다고 여깁니다. 뭔가 흔하지 않은 듯하면서도 수수한데 멋지거나 빼어나다고 여깁니다. 이 보기글은 군더더기 같은 꾸밈말을 잔뜩 이어붙이는데, “전문가나 장인다운”하고 “지성미가 넘쳐”는 “뛰어나거나 훌륭해”나 “빼어나거나 멋져”로 다듬을 만합니다. 일본말씨인 “모종의 신비감과 함께”는 ‘별쭝나고’나 ‘궁금하고’나 ‘유난하고’나 ‘남다르고’로 다듬어 봅니다. ㅅㄴㄹ
모종(某種) : 흔히 ‘모종의’ 꼴로 쓰여 ‘어떠한 종류’. ‘어떤 종류’로 순화
신비(神秘) : 일이나 현상 따위가 사람의 힘이나 지혜 또는 보통의 이론이나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을 만큼 신기하고 묘함. 또는 그런 일이나 비밀
전문가(專門家) : 어떤 분야를 연구하거나 그 일에 종사하여 그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
장인(匠人) : 1. 손으로 물건을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장색 2. 예술가의 창작 활동이 심혈을 기울여 물건을 만드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예술가를 두루 이르는 말
지성미(知性美) : 지적인 사고와 언행을 하는 사람에게서 느껴지는 아름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