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816 : 육아 기술의 문제 철학 태도의 문제 것


육아는 기술의 문제가 아닌 철학과 태도의 문제라는 것입니다

→ 아이는 잘 키우기보다 생각과 삶으로 돌봐야 합니다

→ 솜씨로 키우기보다 함께 생각하고 살아갈 숨결인 아이입니다

→ 아이를 잘 다루기보다 생각하고 함께 살아갈 노릇입니다

《아이 셋 키우는 남자》(권귀헌, 리오북스, 2017) 317쪽


아이를 잘 키우려고 하면 오히려 잘 키우기 어렵습니다. 아이하고 어울려 놀고 노래하면서 살림을 짓는 마음이면 넉넉합니다. 아이를 돌보는 솜씨란 따로 없습니다. 언제나 사랑 하나를 생각하면서 서로 아끼고 품습니다. 어떤 눈빛과 매무새로 아이를 마주하는 어른인지 돌아보아야겠습니다. 잘 다루려 한다면 잘 길들인다는 뜻입니다. 서로서로 도우면서 집살림을 북돋우는 한집안을 이룰 적에 즐겁습니다. ㅅㄴㄹ


육아(育兒) : 어린아이를 기름

기술(技術) : 1. 과학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여 사물을 인간 생활에 유용하도록 가공하는 수단 2. 사물을 잘 다룰 수 있는 방법이나 능력

문제(問題) : 1. 해답을 요구하는 물음 2. 논쟁, 논의, 연구 따위의 대상이 되는 것 3. 해결하기 어렵거나 난처한 대상. 또는 그런 일 4. 귀찮은 일이나 말썽 5. 어떤 사물과 관련되는 일

철학(哲學) : 1.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2. 자신의 경험에서 얻은 인생관, 세계관, 신조 따위를 이르는 말

태도(態度) : 1. 몸의 동작이나 몸을 거두는 모양새 2. 어떤 사물이나 상황 따위를 대하는 자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