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조율 調律
조율이 잘된 악기 → 잘 고른 가락틀
정확하게 조율되었다 → 제대로 만졌다
제대로 조율되어 있으니 → 제대로 맞추었으니
사전 조율 → 미리 맞춤
두 집안의 갈등에 조율이 필요하다 → 다두튼 두 집안을 달래야 한다
원칙이 조율되어야 → 자새를 잡아야
‘조율(調律)’은 “1. 악기의 음을 표준음에 맞추어 고름 2. 문제를 어떤 대상에 알맞거나 마땅하도록 조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소리고르기·소리잡기’나 ‘가누다·가다듬다·고르다’로 손봅니다. ‘다독이다·다듬다·다루다·다스리다’나 ‘달래다·만지다·맞추다·매만지다’로 손보고, ‘바꾸다·보듬다·손대다·손보다·손질’로 손봐요. ‘살피다·살펴보다·쓰다듬다’로 손볼 만하고, ‘아우르다·어르다·어우르다’나 ‘움직이다·잡다·추스르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조율’을 둘 더 싣지만 다 털어냅니다. 밤대추는 ‘밤대추’요, 이바지는 ‘이바지’입니다. ㅅㄴㄹ
조율(棗栗) : 1. 대추와 밤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신부가 시부모에게 드리는 ‘폐백’을 이르는 말
조율(照律) : [법률] 법원이 법규를 구체적인 사건에 적용하는 일 = 의율
이제야 내가 얼마나 조율이 안 된 사람인지 알 수 있었다
→ 이제야 내가 얼마나 안 고른 사람인지 알 수 있다
→ 이제야 내가 얼마나 안 살핀 사람인지 알 수 있다
→ 이제야 내가 얼마나 안 아우른 사람인지 알 수 있다
《나는 자유로운 영혼이다》(신지아, 샨티, 2014) 33쪽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 둘의 조율을 어떻게 하냐고요?
→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 둘을 어떻게 맞추느냐고요?
→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 둘을 어떻게 어우르느냐고요?
《촛불철학》(황광우, 풀빛, 2017) 125쪽
무슨 책으로 꾸밀지 지휘하고 손님과 어떤 커뮤니케이션을 취할지 조율하는 일도
→ 무슨 책으로 꾸밀지 이끌고 손님과 어떻게 만날지 가다듬는 일도
→ 무슨 책으로 꾸밀지 다스리고 손님과 어떻게 어울릴지 살피는 일도
→ 무슨 책으로 꾸밀지 거느리고 손님과 어떻게 얘기할지 맞추는 일도
《하나의 거대한 서점, 진보초》(박순주, 정은문고, 2024) 33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