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시위
우리의 시위는 정당하다 → 우리 너울은 옳다 / 우리는 떳떳하게 일어선다
민중의 시위에 주목하라 → 들꽃너울을 눈여겨보라 / 촛불너울을 보라
전국민의 시위 앞에서 → 온나라 들물결 앞에서 / 온나라 너울판 앞에서
‘시위(示威)’는 “1. 위력이나 기세를 떨쳐 보임 2. 많은 사람이 공공연하게 의사를 표시하여 집회나 행진을 하며 위력을 나타내는 일 = 시위운동”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 + 시위’ 얼거리라면 ‘-의’부터 털고서, ‘구름·구름떼·구름밭·구름무리’나 ‘구름물결·구름바다·구름같다·구름처럼’이나 ‘나라너울·나라물결·들불’로 손봅니다. ‘내달리다·내닫다·내뛰다·달려들다·덤비다’나 ‘너울·너울거리다·너울길·너울판·너울바람·너울결’이나 ‘놀·바다·바닷결’로 손보고, ‘물결·물꽃·물발·물살·몰개·물결치다·물줄기’나 ‘들고일어나다·들고일어서다·떨치다’로 손봐요. ‘들물결·들너울·들꽃물결·들꽃너울’이나 ‘들빛물결·들빛너울·들풀물결·들풀너울’이나 ‘살림너울·살림물결·살림바다’나 ‘삶너울·삶물결·삶바다·삶꽃너울·삶꽃물결’로 손볼 수 있어요. ‘삶꽃바다·삶빛너울·삶빛물결·삶빛바다’나 ‘-랑·-이랑·-과·-와·-뿐·-하고’나 ‘모이다·모여들다·모임·몰려들다·몰려가다’로 손보고, ‘부릅뜨다·붉눈·붉은눈·씨름·씨름하다’나 ‘아침맞이·어깨동무·해돋이·해뜸’으로 손봅니다. ‘일다·일어나다·일어서다’나 ‘치닫다·팔짝’이나 ‘초·촛불’이나 ‘촛불물결·촛불너울·촛불모임·촛불바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무언의 시위를 하는 거야
→ 조용히 일어선단 말이야
→ 말없이 달려들겠어
→ 차근차근 내닫겠어
《4번 타자 왕종훈 36》(산바치 카와/정선희 옮김, 서울문화사, 1998) 54쪽
무언의 시위, 잘 통한다
→ 말없는 물결, 잘 듣는다
→ 조용한 모임, 잘 먹힌다
《탐묘인간》(soon, 애니북스, 2012) 163쪽
시간외수당을 요구하는 캄보디아 노동자들의 시위에
→ 덤일삯을 바라며 캄보디아 일꾼이 물결치니
→ 덧일삯을 외치며 캄보디아 일꾼이 일어나니
《열세 살 여공의 삶》(신순애, 한겨레출판, 2014) 1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