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525 : -의 득세 민족어들 궁극적 쇠멸 것
영어의 득세는 나머지 민족어들이 궁극적으로 쇠멸하리라는 것을 뜻한다
→ 영어가 판치며 나머지 겨레말은 그저 사라진다는 뜻이다
→ 영어가 춤추며 나머지 내림말은 바로 죽는다는 뜻이다
《영어를 공용어로 삼자》(복거일, 삼성경제연구소, 2003) 43쪽
기운을 얻거나 힘을 낼 수 있습니다. 어느 하나만 와락 퍼진다면 이때에는 ‘판치다’나 ‘춤추다’로 나타내곤 합니다. “-하리라는 것을 뜻한다”는 옮김말씨입니다. 우리말씨 “-는 뜻이다”로 고쳐씁니다. 판치는 영어 탓에 여러 겨레말이 사라지거나 죽을 수 있다지요. 마구 춤추는 영어 때문에 온갖 시골말과 살림말이 잡아먹힐 수 있다지요. 모름지기 어느 나라 말이건 어울릴 적에 아름답습니다. 하나만 판친다거나 춤추면 외려 볼썽사나워요. 다 다른 나라와 겨레와 터전과 삶에 맞게 다 다른 말을 넉넉히 쓸 일이요, 이 다 다른 말을 다 다른 글에 얹을 적에 다 다른 살림꽃과 사랑노래가 흐르고 퍼지게 마련입니다. ㅅㄴㄹ
득세(得勢) : 1. 세력을 얻음 2. 형세가 좋게 됨. 또는 유리해진 형세
민족어(民族語) : [언어] 각 민족의 구성원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민족의 역사와 함께 형성되었으며, 민족의 동질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궁극적(窮極的) : 더할 나위 없는 지경에 도달하는
쇠멸(衰滅) : 쇠퇴하여 없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