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숲집놀이터 292. 한자



한자를 써야 하는가? 한자를 안 써야 하는가? 요사이는 이렇게 묻는 사람은 드문데, 써야 할 자리라면 쓰고, 안 써야 할 자리라면 안 쓰면 된다. 아무 데에나 쓸 한자가 아니다. 아무렇게나 쓸 한자이지도 않다. 나라에서 쓰는 낱말에 한자말이 많기에 한자를 써야 할 까닭이 없다. 우리는 이 나라에 깃든 몸이되, 우리가 살아가는 바탕은 집(보금자리)이요 마을이다. 집에서 사랑으로 살아가는 아이는 “한자냐 아니냐”가 아닌 “사랑을 담는 말이냐 아니냐”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고 느낀다. 우리가 입으로 말을 할 적에는 오직 ‘소리’로 낱말을 가눈다. 한자이건 영어이건 우리말이건, ‘소리’로 알아들어야 비로소 ‘말’을 듣고 배우고 익힌다. ‘소리’를 못 알아들으면 아무 말을 못 듣고 못 배우고 못 익힌다. 한글로 ‘비행’이라 적거나 소리를 낼 적에 어떤 ‘비행’인지 모르겠지. ‘비행기·비행청소년’에 깃든 한자가 다르다. 소리만으로는 ‘비행’을 못 가린다. 그러면 어떻게 말해야 알아들으면서 배울 만할까? ‘날다·궂다’를 들려줄 노릇이다. 모든 말은 ‘귀’로 듣고 마음에 담는 길을 밑바탕으로 삼는다. 말부터 말답게 살핀 뒤에라야 비로소 ‘글’로 넘어간다. ‘날다’하고 ‘궂다’는 어떻게 태어난 우리말인지 밑동을 차근차근 풀면서 이야기로 들려주어야 아이어른이 나란히 말결과 말씨와 말빛을 가다듬는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