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8.24.
《在日동포작가 단편선》
양석일 외 다섯 사람/이한창 옮김, 소화, 1996.2.28.
새벽에 길손집을 나선다. 시내버스를 타려는데 언제 올는 지 모른다. 택시를 잡으려는데 “콜 했어요?” 하고 되묻는다. 겨우 하나 잡는다. 전주에서 순천을 거쳐서 진주로 건너간다. 칙폭길에 《말밑 꾸러미》 글손질을 하다가 깜빡 못 내릴 뻔하다. 진주에서 시내버스를 타는데 거꾸로 간다. 잘못 탔구나. 얼른 내려서 길을 건너서 새로 탄다. 그런데 남강다리에서 30분을 멀뚱멀뚱 선다. 무슨 일인가 했더니, 멀쩡한 길바닥을 아침낮에 걸쳐서 파헤치느라 길을 막네. 바보스런 삽질은 온나라가 똑같다. 〈형설서점〉에 들러서 책을 살핀다. 이윽고 〈진주문고〉로 건너가서 노래쓰기(시창작)를 이끈다. 하루하루 살아가는 마음을 고스란히 담기에 노래인데, ‘마음담기’가 아닌 ‘멋부리기’를 하려는 분이 있다. 멋이란 겉치레이다. 시커멓게 탔거나 부끄럽거나 아프거나, 어떤 속마음이건 그대로 담을 때라야 비로소 말이고 글이고 노래이다. 이제 부산으로 건너간다. 〈카프카의 밤〉에서 ‘이오덕 읽기 모임’을 꾸리면서 하루를 아주 길디길게 보낸다. 《在日동포작가 단편선》을 스무 해 만에 새로 읽는다. 스무 해 앞서는 ‘양석일’이라는 분이 안 보였으나, 이제는 새롭게 보인다. 일본글로 나왔어도 틀림없이 ‘한국문학’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