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9.29. 눈으로 봐도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눈으로 보아도 모른다면 아주 모릅니다. 눈으로 안 보아도 안다면, 눈으로 보면 안팎을 아우르면서 알 테지요. 부산에서 사흘에 걸쳐 쉬잖고 이야기밭을 함께 일구었습니다. 둘레에서는 ‘강의·강좌’나 ‘수업’ 같은 한자말을 쓰는데, ‘강의·강좌’는 한쪽에서 들려주는 말을 가리킵니다. 우리나라에서 하는 ‘수업’이라면 으레 길잡이 혼자 떠들기 일쑤입니다. 그래서 길잡이와 배움이가 함께 말하고 생각하고 나누기를 바라는 뜻으로 ‘이야기’라는 낱말로 자리를 꾸립니다.


  우리말 ‘이야기 = 잇는 길’을 가리켜요. 말과 마음을 주고받으면서 새롭게 잇기에 이야기라고 합니다. 이야기꽃을 편다면, 서로 생각을 꽃으로 피울 말씨와 꿈씨를 심는 자리인 셈입니다. 이야기밭을 일군다면, 여태까지 서로 생각하며 살아오고 살림한 하루를 차곡차곡 손수 돌보는 마음을 나누는 셈입니다.


  눈으로 보아도 뻔히 읽고 알았지만, 막상 몸으로 제대로 못 옮기던 일살림을 되짚고 생각합니다. 눈으로 늘 보기는 했지만, 정작 못 알아차리거나 지나치거나 잊던 일거리를 다시 짚으면서 헤아립니다.


  어렵게 말해야 하지 않습니다. 그저 어린이 곁에서 살림하는 어른이라는 마음으로 말하면 넉넉합니다. 일부러 쉽게 고치거나 바꾸려고 하면 더 어렵고 까다롭게 마련이에요. 그런데 어린이 곁에서 말할 적에 “어린이한테 쉽거나 낯익은 말”이란 아예 없는 줄 알아야 합니다. 어린이한테는 모든 말이 낯설고 새롭습니다. 어린이한테는 모든 말이 스스로 맞아들이고 받아들여서 익힐 노래입니다.


  그러니까, 어린이가 처음으로 들으면서 “그냥 외워야 할 말”이 아닌, “처음 들은 날부터 이모저모 엮고 여미고 짜고 묶으면서 생각을 빛낼 씨앗인 말”을 가려서 할 노릇이에요. 우리가 일본말이나 미국말을 배워서 말(회화)을 펴려고 할 적에는 1만 이나 5만이나 10만에 이르는 낱말을 외워야 하지 않습니다. 300∼500 즈음인 밑말(기본어휘)을 익히면 얼마든지 일본말이나 미국말로도 말을 나눌 수 있어요. 이와 마찬가지이거든요. 우리말을 나눌 적에도 ‘밑말’을 자주 쓰면 됩니다.


  언제나 밑말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펴고, 이 밑말을 요모조모 엮어서 새말을 짓는 셈입니다. ‘새말’이라는 낱말은 이제 겨우 국립국어원 낱말책에도 실렸습니다만, ‘새 + 말’인 얼개예요. 국립국어원은 ‘새말’은 겨우 실었으나 ‘새책’은 아직 못 실어요. 새로 나온 책이니 그저 ‘새책’일 뿐이에요. 여러 사람 손을 거쳤으니 ‘손길책’이자 ‘헌책’입니다. 서울에서 사니 ‘서울사람’입니다. 시골에 있으니 ‘시골집’입니다. 숲빛을 담으니 ‘숲말’이고, 스스로 삶과 생각을 살릴 뿐 아니라, 살림하는 이야기를 담기에 ‘살림글’입니다.


  눈으로 보면서 차근차근 가꾸려는 마음이라면, 모든 어른은 어질게 어린이 곁에 섭니다. 눈으로 보면서 차곡차곡 노래하는 마음이라면, 모든 아이는 언제나 어른 곁에서 활짝 웃으면서 소꿉놀이를 즐깁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