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7.8.
《서균렬 교수의 인문핵》
서균렬 글, 철수와영희, 2024.6.25.
‘작은책’ 이야기를 마무리짓는다. 단출하게 써도 된다지만, 손바닥책이며 주머니책이라 일컫는 이 자그마한 꾸러미에 깃든 숨결을 새록새록 나누고 싶기에 한 달에 걸쳐서 조금조금 여미었다. 기지개를 켜면서 해바라기를 한다. 마당에서 뒷다리에 줄무늬가 있는 사마귀를 본다. 새끼일 적에만 줄무늬가 있지 않네. 자라는 동안에도 고스란하네. 사마귀를 말끄러미 보면, 사마귀는 고개를 홱 꺾어서 나를 똑바로 본다. 이제 19시 40분이면 어둡다. 어두운 들길을 천천히 달려서 수박 한 덩이를 장만한다. 두바퀴로 슬슬 달린다. 《서균렬 교수의 인문핵》을 읽었다. 첫머리는 돋보이고, 가운데도 눈여겨볼 만한데, 마무리로 가는 길에 고개를 갸우뚱했다. 글을 쓰신 분도 끝내 굴레에서 헤어나오지 못 한다. ‘순수과학자’라는 핑계를 댄 탓에 우리나라뿐 아니라 푸른별 뭇나라가 얼마나 휘청이는지 거의 못 들여다보는구나 싶다. 번쩍터(발전소)가 왜 잔뜩 있어야 하는지 웬만큼 알면서도 모르는 척하는 듯하다. 여느사람이 살림하며 쓰는 빛(전기)은 얼마 안 된다. 죽음연모(전쟁무기)를 만들어내려는 길에 쓰는 빛이 허벌나다. ‘과학실험’ 때문에 빛도 물도 바람도 엄청나게 망가뜨리는 속낯을 숨기면서 ‘인문핵’만 말하려 한다면 안쓰러울밖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