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7.2.


《아무것도 아닌 빛》

 정영선 글, 강, 2023.2.28.



어제 서울에 와서 〈갤러리 사진적〉에 빛꽃을 붙였다. “7.3.∼8.4.”에 걸쳐서 “책집에 갑니다”라는 이름으로 봄꽃(전시회)을 편다. 길손집은 화양동과 성수동 사이로 잡았는데, 밤새 부릉부릉 소리에 거나꾼 술지랄이 울렸다. 아침에는 빗소리가 모두 잠재운다. 슈룹은 굳이 안 챙겼다. 건대입구역까지 1.5킬로미터를 고스란히 비를 맞으며 걷는다. 비를 흠뻑 맞으면 빗물이 스미면서 몸속 찌끄러기를 내보낸다. 그저 비에 몸을 맡기기만 해도 ‘몸속갈이’를 하는 셈이다. 14시 시외버스를 타기까지 한참 기다리는 동안 말린다. 버스에서 쿨쿨 자면서 바싹 마른다. 《아무것도 아닌 빛》을 읽었다. 글쓴이는 동인문학상을 받았다는데, 이 글보람을 받으면서 부산에서 애꿎게 손가락질도 받았단다. 모든 사람이 모든 ‘엉터리 보람’을 물리친다면, 누가 누구를 나무랄 까닭이 없다. 전남 고흥군은 ‘송수권 문학상’에 자그마치 ‘3000만 원’을 내거는데, 이런 돈잔치에 이름을 내미는 이들이야말로 창피하지 않을까. 글빛을 북돋우려면 ‘상금’이 아닌 ‘밑돈’이나 ‘씨앗돈’을 꾸준히 줄 노릇이다. 이름값 아닌 글빛을 살펴서 ‘글살림 밑돈’을 챙길 줄 아는 고을이나 모임이 있을까? 아무것도 아닌 빛이 모르는 빚쟁이 아닌가? 《아무것도 아닌 빛》을 읽어 보니, 참 잘 쓴 글이라서, 글보람을 받을 만하다고 느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