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6.16.
《지는 꽃도 아름답다》
문영이 글, 달팽이, 2007.6.5.
모처럼 구름밭이 일렁이면서 서늘한 하루이다. 비가 뿌리지 않고 구름만 일렁여도 더위를 훅 식힌다. 오늘 하루도 신나게 글손질을 한다. 더디 나아가는 일감이다. 서두를 수 있고, 다그칠 수 없다. 이제 마지막에 또 마지막이라는 마음으로 들여다본다. 우리 모든 살림도 이와 같다. 새롭게 밥을 짓고 차릴 적마다 ‘가장 즐거이 다루는 손길’이어야 할 뿐이다. 더 새롭거나 나은 밥이 아닌, ‘그저 즐거이 여미면서 나누는 자리’를 헤아린다. 《지는 꽃도 아름답다》를 되읽고 큰아이도 읽었다. 온누리 모든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문영이 님처럼 ‘아이한테 사랑으로 물려줄 글결’을 여민다면 참으로 아름다우리라 본다. 대단하게 써야 할 글이 아닌, ‘살림글’을 ‘사랑글’로 여미면 된다. ‘삶글’을 ‘숲글’로 품으면 된다. 띄어쓰기나 맞춤길은 좀 몰라도 된다. 나중에 엮음이(편집자)가 짚어 주면 된다. 모름지기 살림을 사랑으로 일군 숨결을 담아야 글이다. 멋을 부리거나 꾸미거나 자랑하려는 마음이 터럭만큼이라도 스미면 ‘글시늉’으로 그친다. 밥을 지을 적에 얼룩이 깃들어서야 되겠는가. 글을 쓸 적에 얼룩을 넣을 까닭이 있겠는가. 겉치레는 죽음으로 가는 굴레이다. 꺼풀을 벗고서 나비와 나무를 바라보는 하루이면 넉넉하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