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30.


《국어교육의 원리》

 김수업 글, 청하, 1989.5.25.



아침에 폭 쉬고서 낮부터 봄마당(전시회)을 꾸린다. 오늘 마칠 수 있겠거니 여겼으나 손이 많이 가고, 밤에도 안 끝난다. 이튿날 아침에 마치려나? 서두르지 않되 미루지 않는, 이곳에서 펴려는 ‘모르는책 들춰읽기’를 곱새긴다. 밤에 깜짝비가 지나간다. 《국어교육의 원리》를 1993년에 처음 만났고, 1994년에 다시 읽었고, 1998년에 새로 읽고서 한참 내려놓다가 2024년에 이르러 새삼스레 들춘다. 고3이던 열아홉 살에는 “왜 이 나라 배움터에서는 이렇게 우리말을 안 가르칠까?” 하고 여겼고, 이웃말(외국어)을 익히는 길에 접어들던 즈음에는 “이웃말만 배워서는 옮기기(통번역)를 못 할 텐데, 왜 이 나라는 우리말을 안 가르칠까?” 하고 여겼다가, 이 나라 어느 곳이나 ‘나눔(가르치고 배움)’이 아닌 ‘밥그릇’을 움켜쥐면서 끼리끼리 뭉치는 굴레인 줄 느꼈다. 이 책을 여민 분은 《국어교육의 원리》를 1989년에 처음 내놓기는 했으되, ‘국어교육’이라는 굴레를 2012년 고침판에서도 못 놓았다. 나중에는 ‘우리말·배달말’이라는 낱말은 섞어서 쓰되, 막상 일본말씨나 일본 한자말을 털어내지는 못 하거나 않았다. 무엇보다도 글꽃(문학)에 너무 기울면서 삶말·살림말·숲말·시골말은 거의 안 들여다본 대목이 아쉽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