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4.7.13. 사서읽기 + 서서읽기
아직 혼살림을 지피던 무렵에 으레 둘레에 들려주기도 하고, 손수 쓰기도 한 글자취를 더듬는다. 혼살림을 꾸리던 날이어도 ‘나중에 내가 아이를 낳아 돌보면?’이라는 생각을 늘 했다. 난 아이들 앞에서 어떤 어버이로 이야기를 들려주거나 말을 섞을 만한지 곱씹었다.
책글(서평)을 쓸 적에는 반드시 ‘사서읽기’를 해야 한다고 여겼다가, 이 다짐을 허물기로 하던 즈음 남긴 글을 돌아본다. 가만히 보면, 나는 일찍부터 ‘서서읽기’를 했다. 책을 살 돈이 그냥 없어서 책집에 가도 그냥 ‘서서읽기’를 했다. 둘레에서 숱한 사람들이 아무렇지 않게 ‘사서읽기’를 할 적에 속이 쓰리기도 하고, 부러워하기도 하고, 시샘도 자꾸자꾸 했다.
속쓰림에 부러움에 시샘은 차츰 걷혔다. ‘사서읽기’를 할 만큼 돈이 넉넉하더라도 ‘책눈(책을 고르고 읽고 새기고 익히며 살림하는 눈)’이 누구나 밝지는 않을 수 있는 줄 알아챘다. 책은 넉넉히 사서 읽는다지만, 정작 사랑이나 살림이나 숲하고는 등진 사람을 수두룩하게 만나고 마주했다.
나는 내 길을 걸어가되, 한 갈래 길만 안 간다. 나는 즐겁고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러울 숲길을 갈 뿐이다. 온누리에 숲길이 하나뿐이겠는가? 이 나라에 숲길이 하나만 있겠는가? 숱한 숲길이 있다. 다 다른 사람은 다 다르게 사랑길을 낸다.
‘사서읽기’ 곁에 ‘서서읽기’를 둔다. 아니, ‘서서읽기’가 있기에 ‘사서읽기’가 태어난다. ‘거듭읽기’에 ‘다시읽기’라든지 ‘겹쳐읽기’에 ‘마음읽기’를 한다. ‘하늘읽기’하고 ‘풀꽃읽기’를 누리다가, ‘바람읽기’에 ‘사랑읽기’를 한다. 다만, 내가 안 하는 길이 있다. ‘빌려읽기’만큼은 아예 안 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