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20.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

 이계은 글, 빨간소금, 2024.3.13.



차츰 여름으로 기우는 하루를 느낀다. 오늘치 일을 하고, 해바라기를 하고, 빨래를 하고, 집안일을 하고, 두바퀴를 달려서 나래터(우체국)에 다녀오고. 해가 질 무렵부터 밤노래를 맞이하고. 얼핏 비슷비슷한 하루일 수 있으나, 똑같은 날이란 없고, 비슷한 살림도 없다. 날마다 새로 차리는 밥도 언뜻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늘 새록새록 마음을 기울여서 짓는다.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를 읽으면서 자꾸 갸우뚱했다. 글쓴이는 뭘 말하고 싶을까? 엮은이는 뭘 들려주고 싶을까? 아이를 우리 몸으로 낳아도 아름답고, 이웃 아이를 사랑해도 아름답다. 다만, 아이를 맞아들이거나 헤아리는 마음으로 나아가자면, 먼저 이 터전부터 처음부터 확 새로 바라볼 노릇이다. 돌봄터(병원)는 참말로 돌보는 터전일까, 아니면 ‘더 앓는(병)’ 수렁일까? 배움터(학교)는 참으로 배우는 곳일까, 아니면 ‘길들이는(입시지옥)’ 굴레일까? 글쓴이는 끙끙 앓을 뿐 아니라 너무 머리가 아프다고 한다. 그런데 처음부터 끝까지 비슷비슷한 줄거리만 풀어놓으면서 종잡지 못 하는구나. ‘짝맺이(결혼)’가 지는(패배) 길일 수 없다. 모든 순이돌이는 다른 순이돌이를 나란히 어버이로 두기에 태어난다. 두 숨빛이 어우러지는 사랑을 바라보아야 아기를 만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