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10.
《1987 그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글, 유승하 그림, 창비, 2020.4.2.
느긋하게 움직인다. 오늘은 새벽바람으로 시외버스를 갈아타지 않는다. 아침볕과 낮볕을 쬐면서 천천히 부산으로 건너간다. 집에서 쪽글이 온다. 마을고양이가 몸을 내려놓았다고 알린다. 우리 집 뒤꼍 석류나무하고 수유나무 사이에 묻겠다고 한다. 보수동책골목에 깃든다. 〈새동화서점〉에서 그림책을 읽고, 〈보수서점〉에서 여러 책을 살핀다. 저녁에는 ‘살림씨앗, 사전 쓰기 모임’을 꾸린다. 오늘은 ‘발’이라는 낱말 하나를 두고서 깊고 넓게 말결을 살펴서 말씨를 돌아본다. “만화로 보는 민주화운동”이라는 이름을 내건 《1987 그날》을 읽으면서 한숨이 끊이지 않았다. 들물결은 ‘서울에서 대학생과 천주교회’만 했나? 그린이 스스로 겪은 일을 붓끝으로 담을 수 있되 ‘혼자 겪은 일이 모두’일 수 없는 줄 모르는가? 1987년이면 ‘대학생도 제법 많았’지만 ‘대학생이 아닌 고졸이 더 많’던 무렵이다. 역사책은 ‘넥타이 부대’를 다루지만 ‘무학·국졸·중졸·고졸인 들꽃’을 눈여겨보는 붓끝을 아직 못 만났다. ‘들물결(민주화운동)’은 ‘기념’할 일일까? 왜 ‘기념사업회’일까? 한자말로 붙이더라도 ‘기억회’여야 맞지 않나? 왜 ‘기념’과 ‘사업’을 ‘민주화운동’을 내세워서 꾀하는가? 다들 돈에 눈이 멀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