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3.


《機械仕掛けの愛 6》

 業田良家 글·그림, 小學館, 2019.10.5.



볕날을 누린다. 한낮에 볕을 쬐면서 풀을 베거나 빨래를 널면서 “살짝 덥구나” 하고 느낀다. 그러나 어스름이 끼는 저녁이면 어느새 서늘하고, 밤에는 “살짝 춥네” 하고 느낄 만하다. 마을논 한 배미가 사라지고 잿더미(시멘트)로 뒤덮였다. 살림을 잊어가는 시골이다. 두고두고 짓던 논밭에 잿더미를 부으면, 그 땅은 죽음자리로 뒤바뀐다. 서울을 줄여서 숲으로 돌려야 하지 않을까. 새로 뭘 더 때려박거나 올리지 말고, 이제는 잿더미를 걷어내야 하지 않을까. 아이들한테 어떤 삶터를 물려줄 셈인지 생각해야 한다. 《機械仕掛けの愛 6》을 읽었다. 한글판은 2014년에 두걸음까지 나오고 더 안 나온다. 한글판을 기다리기보다는 일본판을 사읽는 쪽이 빠르겠지. 아니, 한글판은 더 안 나올 수 있다. 《토리빵》이나 《문조님과 나》나 《버섯 강아지》나 《내 마음속의 자전거》나 《천상의 현》을 보아도 어렵잖이 알 만하다. ‘마스다 미리’는 제발 그만 옮기고, 《기계장치의 사랑》이야말로 뒷자락과 새이야기를 옮기면서 이 나라에 ‘생각씨앗’을 심을 일이라고 본다. 사람은 자꾸 사람빛을 잃어가고, 사람꽃(로봇·AI)이 차츰 사람빛을 담고 나누는 길로 간다고 느낀다. 살림손을 잊고서 살림꾼하고 등지니, 사람다운 빛이 스러진다.


ㅅㄴㄹ


#고다요시이에 #기계장치의사랑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