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러 고양이의 일기 난 책읽기가 좋아
앤 파인 글, 베로니크 데스 그림, 햇살과 나무꾼 옮김 / 비룡소 / 199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어린이책 / 맑은책시렁 2024.5.29.

맑은책시렁 324


《킬러 고양이의 일기》

 앤 파인 글

 베로니크 데스 그림

 햇살과나무꾼 옮김

 비룡소

 1999.4.22.



  《킬러 고양이의 일기》(앤 파인·베로니크 데스/햇살과나무꾼 옮김, 비룡소, 1999)를 가만히 읽었습니다. 어린이한테 읽힐 글이라면 영어 ‘킬러’를 그냥 쓰지 않아야 합니다. 어른한테 읽힐 글도 매한가지입니다. 우리말 ‘죽이다’나 ‘앗다’나 ‘빼앗다’가 있기도 하고, ‘사냥’이 있어요. 고양이라면 “사냥꾼 고양이 하루”라든지 “사냥냥이 하루”쯤으로 옮길 만합니다.


  아무튼, 고양이는 사냥합니다. 사냥하는 몸으로 태어나기도 했고, 사냥을 문득 할 뿐 아니라, 사냥하는 사이에 이 별에서 살아가는 뜻을 누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고양이는 사냥을 안 하기도 합니다. 사냥할 적마다 곁사람이 썩 못마땅하다고 여기고 싫어하고 꺼리는 줄 잘 알아요. 타고난 사냥꾼인 고양이인데, 곁사람이 싫어할 일을 굳이 자꾸 하거나 키울 마음이 없습니다.


  이때에 우리 스스로 돌아볼 노릇입니다. 고양이는 사람하고 함께살기로 하면서 ‘사람이 안 반기는 짓’을 멈추거나 줄입니다. 고양이는 ‘사람이 반기는 짓’을 좀더 하려고 마음을 기울입니다. 그러면, 고양이랑 함께살기로 하는 사람은 ‘고양이가 안 반기는 짓’을 얼마나 멈추거나 줄이는가요? ‘고양이가 반기는 짓’을 얼마나 하거나 마음을 기울이는가요?


  고양이는 사람들이 좀 해바라기를 하고, 뜰을 비롯해서 들숲바다에서 돌아다니기를 바랍니다. 고양이는 사람들이 제발 집구석에서 밖으로 나와서 풀꽃나무를 곁에 둘 뿐 아니라, 흙내음을 맡기를 바랍니다. 고양이는 사람들이 제발 쇳덩이(자가용)를 멈추고서 걸어다니기를 바랍니다. 고양이는 사람들이 제발 서울 좀 그만 늘리고, 돈에 그만 얽매이기를 바랍니다.


  고양이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할 사람입니다. 고양이 마음을 읽어야 할 사람입니다. 고양이하고 착하고 참다우며 아름답게 함께살 길을 생각해야 할 사람입니다. 혼자 잘난 척하지 않아야 할 사람입니다. 사람은 ‘만물 영장’이 아니라, ‘뭇숨결 이웃’입니다. 사람도 뭇숨결도 다 다른 ‘하늘빛’입니다.


ㅅㄴㄹ


그래, 그래. 내가 나쁜 놈이다. 내가 그 새를 죽였어. 하지만 난 고양이인 걸 어떡해. (7쪽)


하지만 그 뜰이 어디 자기네 건가? 내 뜰이기도 하다고. 솔직히, 내가 사람들보다 훨씬 오랫동안 뜰에서 지낼걸. 식구들 중에서 뜰을 제대로 이용하는 건 나뿐이라고. (14쪽)


하지만 그 녀석이 병이 들었을 줄이야 어떻게 알았겠어? 동물 병원에 오는 동물들이 모조리 아픈 건 아니란 말이야. 나만 해도 아프지 않잖아? 사실 여태껏 살아오면서 한 번도 아픈 적이 없었어. (57쪽)


엘리가 다시 부모님한테 말했어. “이제 그만 좀 하세요! 터피 좀 가만 내버려 두시라고요! 섬퍼를 땅에서 파낸 건 터피가 아닐 거예요. 틀림없이 피셔 아줌마네 그 못된 개가 그랬을 거라고요. 터피는 섬퍼를 도로 묻어 달라고 우리한테 가져온 것뿐이에요.” (72쪽)


#TheDiaryofaKillerCat #AnneFine #VeoniqueDeiss


+


조그만 구덩이를 팠어

→ 구덩이를 작게 팠어

→ 땅을 조금 팠어

16


그 쥐는 내가 죽은 게 아니야

→ 그 쥐는 내가 안 죽였어

19


너에게 천벌이 내릴 거야

→ 넌 벼락맞아

→ 넌 불벼락 맞아

47


동물 병원에 오는 동물들이 모조리 아픈 건 아니란 말이야

→ 들돌봄터에 오는 짐승이 모조리 아프진 않단 말이야

→ 이웃돌봄터에 오니까 모조리 아프진 않단 말이야

57


우리한테 가져온 것뿐이에요. 터피는 영웅이에요

→ 우리한테 가져왔을 뿐이에요. 터피는 훌륭해요

→ 우리한테 가져왔을 뿐이에요. 터피는 멋져요

72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