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22.


《아빠의 기타》

 마르퀴스 말테 글/윤경 옮김, 크레용하우스, 2010.12.8.



이른아침에 땅가늠(토지측량)을 하러 온다고 알린다. 쉬지 못 한 채 일어나서 한참 지켜본다. 시골에서는 서로 땅을 주거니받거니 알맞게 나누어서 살아왔기에, 오늘날 ‘경계측량’하고 안 맞는다. 땅가늠은 군청에서 ‘온마을을 통틀어서 함께 해야’ 할 텐데 싶다. 오늘 뽕꽃을 톡 훑는다. 이튿날 부천에 다녀오고서 신나게 더 훑자고 생각한다. 뽕꽃내음을 가만히 담는다. 뽕잎도 뽕알(오디)도 숨결이 같다. 《아빠의 기타》는 꽤 잘 나온 글자락이라고 느낀다. 아이 곁에서 나누고 싶은 사랑을 하나하나 되짚는 어버이 마음이 잘 묻어난다. 그런데 벌써 판이 끊겼구나. 우리나라에서는 못 읽힐 만한 글꽃일는지 모른다. 아이어른이 서로 깊이 아끼고 넓게 돌보면서 새롭게 짓는 사랑을 보금자리에 심는 줄거리를 눈여겨보지 않는달 수 있다. 우리나라를 보면, ‘사랑’이 아닌 ‘살섞기’가 넘치는 글판(문학계)에 보임판(영화계)이다. ‘사랑’이 아닌 ‘사랑척’이 팔리는 나라이다. 누구나 사랑에 참하면서 슬기롭게 눈을 뜬다면, 모든 허울과 껍데기와 거짓이 눈녹듯 사라질 테니, 사람들 스스로 사랑에 눈을 못 뜨기를 바라는 굴레가 거세구나 싶다. 사랑은 얼굴이나 몸매나 옷차림이 아니다. 사랑은 오직 ‘사랑’이라는 빛씨앗이다.


#LechelleDeGalsgow #MarcusMalte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