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13.


《연필 하나》

 알랭 알버그 글·부루스 잉그만 그림/손미나 옮김, 주니어김영사, 2020.8.10.



노란수선화는 세이레쯤 앞서 꽃이 나오고서 졌다. 흰수선화는 어젯밤부터 꽃망울이 나온다. 초피나무에 새잎이 나오는가 싶더니 어느새 옅노란 꽃망울이 주렁주렁 달린다. 모과꽃은 우듬지에 꽃잔치요, 매나무는 알이 굵어간다. 모든 나무는 고스란히 자라고, 그대로 푸르다. 사람이 따로 가지를 쳐야 할 일이란 없고, 땔감이나 다른 길에 쓸 적에만 조금 자르면 된다. 늦은낮에 저잣마실을 가서 모처럼 달달이(케잌)를 장만한다. 이제 노래철로 접어든다. 새노래·개구리노래·풀벌레노래 셋이 어우러진다. 한봄을 지나 한여름까지 어마어마한 노래밭으로 나아간다. 《연필 하나》는 제법 재미있게 그리고 엮었다고 느낀다. 그러나 조금은 아쉽다. 붓하고 지우개가 벌이는 싸움으로 짜면 아이들이 처음에는 킥킥거리면서 줄거리를 따라갈 테지만, 온누리 숱한 곳에서 치고받는 싸움이 안 끝나는 듯 보인다지만, 붓하고 지우개 사이를 더 들여다보고서 그릴 만할 텐데 싶다. 싸움질이 아닌 다른 길, 그러니까 둘이 돕고 아끼면서 어깨동무로 짓는 살림길을 바탕으로 한다면, ‘킥킥 재미’가 아니라 ‘우와 기쁨’으로 나아갈 만했다. 모름지기 그림책이건 글책이건 한두 벌 읽고서 다시 안 들출 꾸러미로는 안 엮기를 빈다.


#ThePencil #AllanAhlberg #BruceIngman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