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학교생활 2024.5.2.나무.



나무만 심는다고 해서 길이나 마을이 푸르지 않아. 애써 심은 나무를 안 쳐다보면 무슨 보람이겠니. 나무를 안거나 쓰다듬을 수 없어도 부질없어. 나무는 심었으나 부릉부릉 매캐하다면, 나무를 그저 괴롭히는 짓이고, 사람 스스로 죽음길을 치닫는 셈이야. “나무를 심었다” 하고 말하려면, 나무가 자라서 나무씨를 떨구어 어린나무가 새로 자랄 수 있어야 한단다. 큰집을 세우고 길잡이를 두고 책을 꽂기에 배움터(학교)이지 않아. 배움터에 보내기에 ‘배움살림(학교생활)’이라고 여기지 않아. 하루를 다니건, 몇 해를 다니건, 아예 안 다니건, 스스로 눈코귀입을 틔우면서 마음을 열고 온누리를 담아내는 길일 적에 ‘배움살림’이란다. ‘배웠다’거나 ‘학교를 다녔다’고 말은 하지만, 매무새(기본예절)가 덜되거나 엉터리인 사람이 수두룩하구나. 책을 읽거나, 영화·유튜브를 보았어도 ‘읽고 새겨서 익히’지 않는다면, 허울이나 탈이나 겉치레로 그쳐서 수렁에 잠긴단다. 어디를 다닌다면 ‘다닐’ 뿐이야. ‘배움길’은 어느 곳에서만 가지 않거든. 네가 살아가는 모든 곳이 배움터야. 네가 만나는 모든 사람이 배움동무야. 네가 이야기를 듣는 모든 사람이 배움길잡이란다. 네가 맞이하는 모든 날이 배움날이지. 네 마음에 피어나는 모든 생각은 배움꽃이야. 네가 읽는 모든 글과 모습과 빛은 배움책이란다. 집에서 즐겁게 배우고, 들숲바다에서 푸르게 배우고, 나들이를 하면서 새록새록 배우고, 밥을 차리고 나누면서 오붓하게 배우기를 바라. 배우기에 자라. 자라기에 튼튼해. 튼튼하니까 살아가지. 살아가면서, 문득 사랑을 본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