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봉우리 2024.5.3.쇠.



나무줄기에 비닐끈을 동여매어 걸개천을 붙이는 사람이 많구나. 나무가 몸이 조여서 아픈 줄 모를 뿐 아니라, 나무한테 다가가서 마음을 나눌 줄 모르는 탓이야. 네 손목이나 배나 목을 비닐끈으로 조인다고 생각해 보렴. 견딜 수 있겠어? 숨막히겠지? 나무도 비닐끈 탓에 숨막힌단다. 숨막히는 나무는 푸른바람을 일으키기 힘들어. 쓰러지거나 무너질 판이야. 높게 솟은 봉우리는, 밑자락부터 풀과 나무로 둘러. 조이거나 묶거나 매이지 않은 풀과 나무가 어우러진 봉우리와 멧자락이기에 ‘숲’을 이루고, 이 멧숲은 온목숨이 싱그럽고 기쁘게 살아가는 터전이란다. 예부터 사람은 “호젓한 숲”과 “이 호젓한 숲을 품은 봉우리”한테 폭 안겨서 살아왔어. 호젓한 멧숲자락에서 살림을 여미고 하루를 누리기에, 사랑을 느끼고 나누면서 마음씨를 달래고 가꾸지. 마음씨가 퍼지면서 생각이 자라고, 생각은 어느새 꿈으로 뻗고, 이 꿈은 새삼스레 삶으로 드러난단다. 먼곳을 바라볼 적에는 봉우리(멧봉우리)인데, 곁을 살펴볼 적에는 봉오리(꽃봉오리)야. 부드럽게 자라다가 어느 날 곧고 반듯하게 서고 솟는 봉오리이지. 꽃잎은 봉긋하게 솟아나면서 둘레를 밝혀. 꽃빛(꽃봉오리빛)은 네가 늘 삶터에서 스스로 밝게 반짝이는 하루인 줄 알아보라고 알린단다. 그러니까, 보면 돼. 봉우리를 보고, 봉오리를 보렴. 마음에 꽃봉오리를 품고 멧봉우리를 품으렴. 풀과 나무가 우거진 멧숲에서 솟은 샘은 어느덧 물줄기를 이루어 들을 적시는구나. 들을 가르는 물줄기는 곧 바다로 이어가서 숱한 이야기씨앗을 흩뿌리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