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축구 양말을 신은 의자 ㅣ 다이애나 윈 존스의 마법 책장 3
다이애나 윈 존스 지음, 사타케 미호 그림, 윤영 옮김 / 가람어린이 / 2019년 11월
평점 :
숲노래 어린이책 / 맑은책시렁 2024.4.13.
맑은책시렁 310
《축구 양말을 신은 의자》
다이애나 윈 존스
사타케 미호 그림
윤영 옮김
가람어린이
2019.11.25.
《축구 양말을 신은 의자》(다이애나 윈 존스/윤영 옮김, 가람어린이, 2019)는 “Chair Person”을 옮겼습니다. “걸상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오래도록 사랑받은 걸상이 어느 날 사람으로 거듭난 하루를 들려줍니다.
얼핏 꿈같은 소리일 수 있지만, 걸상도 붓도 도마도 다 다르게 숨결이 흐릅니다. 모두 우리 곁에서 함께 살아가며 하루를 누리고, 이야기를 담고, 즐겁게 보금자리를 이룹니다.
기쁘게 쓰고서 내놓을 적에는, 고맙다는 뜻을 포근히 밝히면서 고이 쉬라는 마음을 남길 노릇입니다. 이제 더는 쓰임새가 없다고 여겨서 내놓으니, 헌몸을 내려놓고서 오롯이 넋으로 피어나라고 속삭일 노릇이에요.
마음이 없는 풀꽃나무가 없고, 마음이 없는 살림이나 연장이 없습니다. 함부로 다루거나 마구 부리면, 지우개도 종이도 책도 고단합니다. 알뜰히 살피고 살뜰히 건사하며 알뜰살뜰 품는 손길을 받으면서 함께 기뻐하는 지우개요 종이요 책입니다.
《축구 양말을 신은 의자》는 ‘마음’이라는 대목을 눈여겨보자는 줄거리를 차분히 엮어서 들려줍니다. 이 대목은 볼만합니다. 다만, ‘마음’ 이야기로 깊이 들어서기보다는 자꾸 ‘장난’과 ‘틀’에 맞추려고 하는 대목은 아쉽습니다. “걸상 사람” 여기저기에서 말썽을 일으키는 장난꾸러기 같다는 쪽으로 기우느라, 정작 “걸상이 어떻게 사람이 되었을까?”라는 대목은 조금 짚다가 끝났습니다.
ㅅㄴㄹ
의자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마르시아는 죄책감이 좀 들기도 했는데, 엄마의 말대로 숨결이 깃든 오래된 의자를 불태울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13쪽)
“갑자기 사람이 되다니 얼마나 힘들겠어. 말하는 법, 숨 쉬는 법, 진짜 사람처럼 행동하는 법도 곧 배우게 되겠지?” (52쪽)
사이먼과 마르시아가 지금 할 수 있는 일은 끊임없이 떠들어대는 의자 사람이 둘 옆을 쿵쿵거리며 쫓아오도록 내버려 두는 것뿐이었다. 또한 그를 다시 의자 상태로 돌려놓는 방법을 고민하는 것뿐이었다. (94쪽)
“아니야. 그 사람은 별 이유도 없이 우리 집에 불을 질렀어. 그것만 봐도 그가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다고 생각해.” (129쪽)
#ChairPerson #DianaWynneJones
1989년
+
안락의자에서 수염이 자라고 있어
→ 폭신걸상에서 나룻이 자라
→ 아늑걸상에서 털이 자라
10쪽
너희를 여기까지, 음, 흠, 오게 만들었잖아
→ 너희를 여기까지, 음, 흠, 오게 했잖아
31쪽
팔은 바닷속 해초처럼 흔들거렸다
→ 팔은 미역처럼 흔들거렸다
→ 팔은 바닷풀처럼 흔들거렸다
32쪽
사과가 풀밭 위로 우수수 떨어졌다
→ 능금이 풀밭으로 우수수 떨어졌다
36쪽
제가 당신의 사과에 문제를 일으킨 장본인입니다
→ 제가 그대 능금을 떨어뜨렸습니다
→ 제가 이녁 능금을 건드렸습니다
47쪽
진짜 사람처럼 행동하는 법도 곧 배우게 되겠지
→ 사람처럼 움직이는 몸짓도 곧 배우겠지
→ 사람과 똑같이 구는 길도 곧 배우겠지
52쪽
그들 가운데 자기 자신을 불우하다고 생각하는 아이들은 아무도 없었다
→ 그들은 아무도 스스로 딱하다고 여기지 않는다
→ 그 아이들은 아무도 저를 불쌍하다고 여기지 않는다
107쪽
다시 설명을 하려고 운을 띄웠다
→ 다시 얘기하려고 말을 띄운다
→ 다시 말하려고 덧붙인다
10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