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탐스럽다 貪
탐스럽게 핀 장미 → 소담스레 핀 꽃찔레
감들이 탐스럽게 열렸다 → 감이 주렁주렁 열렸다
뭉게구름이 탐스럽게 피어오르고 있었다 → 뭉게구름이 가득 피어오른다
머리카락이 탐스럽다 → 머리카락이 칠칠하다 / 머리카락이 봉긋하
탐스럽게 잘 익다 → 잘익다
‘탐스럽다(貪-)’를 “마음이 몹시 끌리도록 보기에 소담스러운 데가 있다”로 풀이합니다. ‘탐스럽다 = 소담스럽다’라고 밝히는 셈입니다. 우리말 ‘소담스럽다’를 찾아보면 “1. 생김새가 탐스러운 데가 있다 2. 음식이 풍족하여 먹음직한 데가 있다”로 풀이합니다. ‘소담스럽다 = 탐스럽다’라고 밝히는 셈입니다. 어설픈 돌림풀이입니다. 다만, ‘소담스럽다’로 고쳐쓰면 된다는 뜻일 테지요. 이밖에 ‘먹음직하다·맛있다’나 ‘흐드러지다·흐무러지다·흐벅지다’로 고쳐씁니다. ‘푼더분하다·함함하다·칠칠하다·다복하다·다북지다’나 ‘넉넉하다·넘치다·푸지다·푸짐하다’로 고쳐쓸 만하고, ‘봉긋하다·터질 듯하다·익다·잘익다’나 ‘무럭무럭·주렁주렁·통통’으로 고쳐써요. ‘가득·그득·한가득·잔뜩·듬뿍’이나 ‘알차다·알뜰하다·알알이’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아카시아꽃이 뭉텅뭉텅 탐스럽게 피는 오월
→ 아카시아꽃이 뭉텅뭉텅 소담스레 피는 오월
→ 아카시아꽃이 뭉텅뭉텅 알알이 피는 오월
→ 아카시아꽃이 뭉텅뭉텅 봉긋봉긋 피는 오월
→ 아카시아꽃이 뭉텅뭉텅 그득그득 피는 오월
《산책》(김천영·임덕연, 삶이보이는창, 2007) 46쪽
보리가 무럭무럭 자라 이삭이 탐스럽게 나왔어
→ 보리가 무럭무럭 자라 이삭이 소담스러워
→ 보리가 무럭무럭 자라 이삭이 알차게 나왔어
→ 보리가 무럭무럭 자라 이삭이 알뜰히 나왔어
→ 보리가 무럭무럭 자라 이삭이 주렁주렁 나왔어
→ 보리가 무럭무럭 자라 이삭이 한가득 나왔어
《빵을 훔친 꼬마 악마》(우치다 리사코/고향옥 옮김, 비룡소, 2014) 17쪽
탐스러운 복숭아를 먹는다
→ 소담스런 복숭아를 먹는다
→ 맛있는 복숭아를 먹는다
→ 잘익은 복숭아를 먹는다
→ 통통한 복숭아를 먹는다
《가족의 시골》(김선영, 마루비, 2015) 151쪽
탐스러운 열매만큼이나 그 마음도 참 소담스럽다
→ 소담스런 열매만큼이나 마음도 참 소담스럽다
→ 알찬 열매만큼이나 마음도 참 소담스럽다
→ 넉넉한 열매만큼이나 마음도 참 소담스럽다
→ 푸짐한 열매만큼이나 마음도 참 소담스럽다
《섬마을 산책》(노인향, 자연과생태, 2017) 22쪽
탐스럽게 매달고 있었습니다
→ 먹음직스럽게 매달았습니다
→ 소담스럽게 매달았습니다
→ 알차게 매달았습니다
→ 알알이 매달았습니다
《적당히 쓸쓸하게 바람 부는》(심재휘, 최측의농간, 2017) 13쪽
내가 죽으면 청상과부 될 아내의 탐스런 자태를 떠올리니
→ 내가 죽으면 홀로일 곁님 흐벅진 모습을 떠올리니
→ 내가 죽으면 홀어미일 짝꿍 봉긋한 몸을 떠올리니
《원시별》(손석춘, 철수와영희, 2023) 29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