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책하루, 책과 사귀다 199 의료대란



  시골에 가뭄이 들어 마늘이 타더라도 서울에서는 모르쇠입니다. 알 턱이 없고 느끼지 않습니다. 시골에 장마가 들어 나락이 녹거나 흐물거리거나 곰팡이가 피어도 서울에서는 불구경입니다. 알 일조차 없습니다. 서울이 밤낮으로 번쩍번쩍 밝자면, 옆에 있는 인천을 비롯해서 온나라 시골에서 번쩍터(발전소)를 끝없이 돌리고, 빛줄(송전선)을 길다랗게 이어야 합니다. 우리는 어느새 서로 모르고 잊고 등돌리면서 쳇바퀴로 하루를 보내는 얼거리입니다. ‘장애인 이동권’을 외치는 모임은 서울 한복판에서 목소리를 낼 뿐, 시골 할매가 엉금엉금 기며 ‘턱 높은 시골버스를 겨우 오르내리’는 삶을 들여다본 적이 없습니다. 스무 해 남짓 돌봄터(병원)에 얼씬조차 않지만 돌봄낛(건강보험료)을 꼬박꼬박 내는 사람이 꽤 많습니다. ‘의료대란’이라는 허울은 돌봄일꾼(의사)이 스스로 콧대를 높이고, 둘레나 나라에서도 이들을 우러르는 진구렁으로 치닫습니다. 곰곰이 보면 “서울사람이 서울에 있는 돌봄터에 가는 일” 못잖게 “서울 바깥에서 서울 돌봄터로 먼마실 가는 일”이 잦을 수 있습니다. 전남 고흥 할매할배는 택시삯 60만 원을 들여 ‘서울 돌봄터 마실’을 합니다. 시늉뿐인 마을살림(지방자치)이니, 그들이 콧대를 높일 뿐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