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사하는 마음 - 김혜리 영화 산문집
김혜리 지음 / 마음산책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3.18.

읽었습니다 313



  2024년에 열일곱 살을 맞이하는 큰아이는 “박새나 딱새가 겨울에 부르는 노래하고 봄에 부르는 노래가 달라요.” 하고 얘기합니다. 우리 시골집에는 날마다 뭇새가 쉬잖고 날아듭니다. 귀여겨들으면 어느 날 문득 모든 새가 철마다 날마다 어떻게 달리 노래하는지 가눌 수 있습니다. 다만, 억지로 익힐 일이 아닙니다. 살아가고 살림하면 시나브로 젖어듭니다. 글멋이란 따로 없습니다. 스스로 마음을 담아서 말을 펴고 나누고 가꾸는 길에 문득 글결이 서게 마련이요, 글빛은 별빛처럼 천천히 부드러이 퍼집니다. 《묘사하는 마음》은 글쓴이가 본 보임꽃(영화)을 이녁 나름대로 풀어낸 꾸러미입니다. 이 책이 다룬 보임꽃 가운데 〈파이 이야기〉랑 〈스타워즈〉는 아이들하고 보았고, 〈로건〉은 곁님하고 보기는 했으되, 다른 모든 보임꽃은 심드렁합니다. 〈마틸다〉나 〈반지의 제왕〉이나 〈디스크 월드〉나 〈이 세상의 한 구석에〉처럼 아이 곁에서 함께 생각을 지피는 보임꽃을 두고두고 거듭거듭 보며 이야기한다면, 글도 말도 살림도 사랑도 새록새록 지피는 실마리를 누구나 찾으면서 가꿀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묘사하는 마음》(김혜리, 마음산책, 2022.8.5.)


ㅅㄴㄹ


개선되지 않는 글의 속도와 질에 괴로웠던 당시 나에게

→ 나아가지 않는 글쓰기에 괴롭던 예전 나한테

→ 빨리 쓰지도 잘 쓰지도 못해 괴롭던 나한테

9쪽


난데없이 동병산련을 느낀 이후에도 나의 글쓰기는 쉬워지거나 빨라지지 않았다

→ 난데없이 같이 아픈 뒤에도 쉽거나 빠르게 쓰지 않았다

→ 난데없이 함께 앓은 다음에도 쉽게 빨리 쓰지 못 했다

9쪽


기사를 퇴고해 묶는 책으로는 마지막일 것 같은 예감이 들어

→ 고쳐서 묶는 글으로는 마지막이리라고 느껴

→ 다듬어 묶는 글로는 마지막이겠다고 여겨

10쪽


제목을 구사일생이라고 지을 수는 없는 노릇이라

→ 이름을 가까스로라고 지을 수는 없는 노릇이라

→ 이름을 죽을고비라고 지을 수는 없는 노릇이라

→ 이름을 아슬아슬로 지을 수는 없는 노릇이라

11쪽


묘사는 미수에 그칠 수밖에 없지만, 제법 낙천적인 행위이기도 하다

→ 시늉처럼 꾸밀 수밖에 없지만, 제법 느긋한 일이기도 하다

→ 손만 대듯 담을 수밖에 없지만, 제법 가볍기도 하다

11쪽


다채로운 배역의 라이브러리를 거론하면서 유의할 점은

→ 여러모로 구실하는 꾸러미를 들면서 살필 곳은

→ 온갖 몫을 한다고 들려주면서 헤아릴 대목은

→ 두루 맡는다고 이야기하면서 눈여겨볼 일은

21쪽


관객에게 인물을 제시하는 방식에 있어서 위페르의 근본 특징은

→ 위페르가 사람을 보여줄 적에는

→ 위페르가 사람을 풀어낼 때에는

→ 위페르가 사람을 밝히는 길은

2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