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화化] 단순화
제조 공정의 단순화 → 쉽게 짓기 / 쉽게 빚기
구조가 단순화되어 생산된 → 단출한 짜임새로 만든 / 단출하게 만든
복잡한 결재 절차를 단순화하여 → 까다로운 마감을 줄여 / 많던 마침꽃을 줄여
단순화(單純化) : 단순하게 됨. 또는 그렇게 되게 함
낱말책을 살피면, “단순(單純) : 복잡하지 않고 간단함”으로 풀이합니다. 그리고 “간단하다(簡單-) : 1. 단순하고 간략하다 2. 간편하고 단출하다 3. 단순하고 손쉽다”로 풀이하고, “간략하다(簡略-) : 간단하고 짤막하다”로 풀이하고, “간편하다(簡便-) : 간단하고 편리하다”로 풀이합니다. 이 모든 뜻풀이는 겹말풀이·돌림풀이일 뿐 아니라, 말장난입니다. 아니, 말을 모르기에 아무렇게나 욱여놓은 꼴입니다. 우리말로는 ‘그저·그대로·그냥·마냥·이냥’이나 ‘한낱·흔한·아무·아무렇게나·함부로’나 ‘쉽다·수월하다·가볍다·수수하다’로 손질합니다. ‘홑·낱·낱낱·하나’나 ‘단출하다·깔끔하다·굵고짧다’로 손질하고, ‘추리다·간추리다·솎다’나 ‘작다·줄다·줄줄이·짧다’로 손질해요. ‘어설프다·어수룩하다·섣부르다·어정쩡하다’로 손질할 수 있고, ‘너끈하다·넉넉잡다·넉넉하다’로 손질하지요. ‘넋나가다·어줍다·얼간이·얼나가다·얼뜨기·얼치기’나 ‘덮어놓고·무턱대고·다짜고짜·들이밀다’로 손질해도 어울리고, ‘달려들다·답치기·덤비다·들이대다·치닫다’나 ‘마구·망탕·막하다·비리다’로 손질합니다. ‘바보·멍청하다·모르다’나 ‘생각없다·설렁설렁·쑥·우격다짐’으로 손질하면 되고, ‘턱·탁·톡·툭·투박하다’나 ‘졸때기·좀스럽다·쪼르르·코흘리개’나 ‘처음·철없다·허술하다’로 손질해 줍니다. ㅅㄴㄹ
굳이 단순화해서 말하면, 아데나워의 국가는 반공주의이므로 친나치스 국가였다고 이해하는 것이 옳지 않듯이, 반공주의이므로 반나치스 국가였다고 단정 짓는 것도 옳지 않다
→ 굳이 단출히 말하면, 아데나워는 거꿀두레이므로 나치스에 붙었다고 보면 옳지 않듯이, 거꿀두레이므로 나치스를 멀리했다고 여겨도 옳지 않다
→ 굳이 줄여서 말하면, 아데나워는 두레길이 싫었으므로 나치스 쪽이라고 보면 옳지 않듯이, 두레길이므로 나치스를 등졌다고 여겨도 옳지 않다
《역사교과서의 대화》(곤도 다카히로/박경희 옮김, 역사비평사, 2006) 62쪽
문화는 점점 획일화·표준화되며 최소 공통분모의 하나로 지나치게 단순화된다
→ 삶은 자꾸 틀에 박히며 아주 엇비슷하게 투박하다
→ 삶터는 차츰 틀에 맞춰 아주 비슷비슷하다
→ 삶길은 어느새 틀에 따라 거의 똑같은 모습이다
→ 살림살이는 어느덧 틀에 박히거나 맞추어 지나치게 닮는다
→ 삶은 차츰 판에 박히거나 맞추어 지나치게 똑같다
《지금 다시 생태마을을 읽는다》(조나단 도슨/이소영 옮김, 그물코, 2011) 61쪽
자연을 담은 가장 인상적인 사진은 자칫 의례적이고 거칠고 시각적으로 혼란스러울 수 있는 것을 단순화해서 보여주는 것이다
→ 숲을 담은 가장 눈에 띄는 빛꽃은 자칫 뻔하고 거칠고 여러모로 어지러울 수 있는 모습을 단출히 보여준다
→ 수풀을 담은 가장 돋보이는 그림은 자칫 흔하고 거칠고 겉보기에 어지러울 수 있는 모습을 가볍게 보여준다
《내가 제일 아끼는 사진》(셔터 시스터스 엮음/윤영삼·김성순 옮김, 이봄, 2012) 29쪽
오키나와에 대한 무지의 단순화는 의식적인 회피와 냉혹한 일본인의 행태를 보여준다
→ 철없을 만큼 오키나와를 모르는 일본사람은 짐짓 등돌리면서 차갑다
→ 멍청할 만큼 오키나와를 모르는 일본사람은 아주 등지면서 매몰차다
《오키나와 노트》(오에 겐자부로/이애숙 옮김, 삼천리, 2012) 171쪽
이 모든 감각은 외부 세계의 성질을 단순화시켜 내면화하는 과정이었다
→ 이 모든 결은 바깥빛을 추려서 담는 길이다
→ 이 모든 늧은 바깥살림을 솎아서 담는 흐름이다
《과학을 읽다》(정인경, 여문책, 2016) 31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