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보이지 않는 곳 2022.11.7.달.



‘보는눈’이 있지 않으면, 철 따라 다르고 달마다 다르며 나날이 다른 숲을 못 느끼겠지. ‘보는눈’이 있으면, 철·달·날에 맞춰 새로 흐르는 바람을 느끼겠지. ‘보는눈’이란 그저 다 보거나 둘레를 받아들이는 눈이 아니야. ‘보는눈’은 “보려는 모습을 먼저 마음에 그려 놓고서 이 모습으로 이루어 가는 길을 보는 눈”이지. 그런데 너희는 예나 이제나 어제나 오늘이나 엇비슷하거나 똑같은 모습을 보곤 하지. ‘볼 모습’을 먼저 안 그린 탓이고, 네 둘레를 사랑으로 마주하면서 달래기보다 “내 둘레는 언제나 똑같아” 하고 마음에 그린 탓이야. 무엇이든 흘러가는 대로 ‘구경하려는’ 마음일 적에는 “멍하니 꽁무니를 좇는 모습”만 보게 마련이지. “생각도 마음도 없이 홀리듯 쳐다보는 눈”이 아닌, “생각도 마음도 스스로 그려서 둘레를 포근하고 아늑하게 달래는 눈”으로 피어나기를 바라. 네가 마음에 그리려 하면, 네가 보는 곳이 바뀌고, 네 눈길이 닿지 않는 곳도 어느새 바뀐단다. 네가 마음에 안 그리는 채 아침을 맞거나 바깥을 돌아다닌다면, 넌 그저 휩쓸리거나 어지러이 하루를 치르겠지. 빗물이 시원스레 씻어 주기를 바라면, 하늘을 바라보면서 “빗물이 촉촉히 들며 싱그러운 들숲바다에 마당에 마을” 모습을 마음에 그리렴. 추위도 네가 그리는 대로 오고, 더위도 네가 그리는 만큼 와. 네가 마음으로 보는 곳은 어디야? 네가 마음을 열지 않은 채 멀거니 쳐다보는 곳은 어디야? 너희 눈길은 네 마음이 나아갈 빛길이란다. 눈을 들어 무엇을 보려 하든, 마음부터 넉넉히 그리기를 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