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짠물 2024.2.11.해.



바닷물은 짠물이야. 소금을 머금기에 바닷물이야. 냇물과 샘물과 우물물은 소금을 안 머금은 민물이야. 늘 흐르면서 새로 길을 나서는 물줄기에는 소금빛이 없어. 늘 머무르면서 오르내리듯 춤추는 들판이기에 소금빛이 있어. 흐르는 곳에는 티없는 숨빛이 흘러. 머물되 춤추는 곳에는 묵직하면서 깊이 숨빛이 배지. 민물은 그냥 마시면서 싱그러운 기운이고, 짠물은 새로 숨붙이가 자라고 깨어나라는 틔움 기운이야. 바다에서 살아가는 모든 숨붙이는 ‘바닷물에 깃든 소금빛’을 언제나 온몸에 덮으면서 헤엄치지. 바다에서는 아프거나 앓을 일이 없어. 바다란 모두 받아들이면서 풀어내는 몫이야. 뭍에서 긴긴 ‘민물 냇물’이 흘러 바다로 올 적에 모래밭과 뻘밭에서 차근차근 걸러서 소금빛을 베푼단다. 사람들은 밥이나 국을 먹으면서 간을 하지. 소금빛을 담아서 밥살림을 잇는구나. 몸을 살리려니 ‘소금빛 감도는’ 밥을 먹어야겠지. 아프거나 앓을 일이 없으라면서 소금을 머금어. 그런데 바다는 하염없이 짜지 않아. 늘 아주 조금 소금을 머금을 뿐이란다. 소금은 틀림없이 몸을 깨우고 살리지만, 지나치게 소금을 들이켜면, 그만 몸이 녹아버려. 사르르 녹아버리지. 알맞게 쬐는 불이라면 따뜻하지만, 활활 사르려 들면, 그만 다 녹아버린단다. 북돋우는 빛인 소금은 그저 조금이면 돼. 혀로 살짝 핥듯 머금으면 하루가 넉넉해. 한 움큼씩 집어삼키다가는 그만 죽어. 게다가 비로 바뀌는 바다는 소금빛을 모두 내려놓는 줄 알아차리렴. 사르지 않고 살리는 짠빛을 가눌 노릇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