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2.14.
숨은책 910
《밥의 위기 생명의 위기》
이병철 글
종로서적
1994.1.30.
봄마다 중국에서 먼지바람이 분다고 하지만, 우리나라에 부릉부릉 물결치는 쇳덩이가 내뿜는 먼지부터 매캐합니다. 인천을 비롯한 서울곁에 세운 뚝딱터를 돌릴 적에 나오는 먼지와 구정물과 쓰레기도 대단합니다. 무엇보다 서울과 서울곁에서 쏟아지는 쓰레기가 어마어마합니다. 살림을 손수 안 지으면서 돈을 많이 버는 길로 나라틀을 바꾸면서 푸른숲이 줄고, 물하고 바람이 망가져요. 먹을거리도 마땅히 이웃나라에서 잔뜩 사들입니다. 《밥의 위기 생명의 위기》는 이런 나라틀을 걱정합니다. 그런데 먼지나라를 걱정하는 글이 썩 어려워요. 온나라는 서울에 갇혀서 쳇바퀴라면, 우리말은 ‘생명공동체운동’처럼 어렵게 씌우는 굴레에 허덕입니다. 가만 보면 ‘생명 + 공동체 + 운동’ 같은 한자말씨는 일본이 지었어요. 우리가 손수 살림을 지어야 밥도 땅도 하늘도 살아난다고 여긴다면, 마음을 담을 말도 우리가 손수 지을 노릇입니다. 글쓴이는 집안일을 도맡는 곁님을 걱정하는 글을 남기기도 하더군요. 그저 함께 일하고 함께 쉬는 하루를 새롭게 지으면서 ‘집안일 즐기는 아재’라는 새길을 노래한다면, 걱정도 겉돌이도 벗어날 텐데요.
어둔 별이 떠오를 때 / 일터에서 돌아와 / 아내는 / 부엌에서 밥을 짓고 있다 / 내가 지친 몸으로 / 벽에 기대어 있을 때 / 아내는 나보다 더 지친 몸으로 / 머리카락에 붙은 짚 검풀도 / 털어내지 못한 채 / 하루의 남아 있는 마지막 기운을 쏟아 / 밥상을 만들고 있다 (아내는 밥이다/149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