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12.


《제시의 일기》

 양우조·최선화 글, 김현주 엮음, 우리나비, 2019.2.28.



밥을 짓고, 빨래를 하고, 집안일을 하고서,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책더미를 치우면서 돌아본다. 시골에서 살아가기에 책을 더미로 사는구나 싶고, 나중에 읽을 책을 미리 쟁이듯 들여왔구나 싶다. 그러면 집에 쟁이기보다는 책숲에 놓고서 그때그때 옮겨와야 알맞겠지. 헛간에 고이 두고서 조금씩 꺼내어 읽고서 옮겨야 나을 수 있다. 덜어내고 비워서 그득그득 물결을 낮추지만 썩 티가 나지 않는다. 《제시의 일기》를 덮었다. 서슬퍼런 지난 어느 날을 하루글로 남긴 대목은 돋보인다. 아이를 아끼는 마음도,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도, 가시밭길을 걷던 마음도, 퍽 투박하게 담으려고 힘쓴 자취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크게 빠진 대목도 똑똑히 느낀다. 아무런 이름을 남기지 못 하거나 않은 채 땀방울로 이 터전을 일군 숱한 사람들 마음은 이 꾸러미에서 느끼기 어렵다. 남자현 님이 이녁 발자국을 글로 남겼다면 어떤 이야기였을는지 헤아려 본다. 시골에서 나고자라며 들을 짓고 보금자리를 짓고 아이한테 수수한 말씨를 물려준 여느 순이돌이가 이녁 말을 글로 옮길 수 있었다면 어떤 이야기였을는지 생각해 본다. 살림꾼은 살림을 적게 마련이고, 글바치는 글붓에서 맴돈다. 시골내기는 시골을 적을 테고, 서울내기는 서울을 쓴다. 우리나라가 앞으로 나아갈 길이라면, 들숲바다를 푸르게 품으며 어깨동무하는 사랑일 노릇이라고 본다. 예나 이제나 이 대목은 마찬가지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