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점의 시대 - 지성과 문화가 피어난 곳, 그 역사를 읽다
강성호 지음 / 나무연필 / 2022년 10월
평점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4.1.21.
인문책시렁 339
《서점의 시대》
강성호
나무연필
2023.10.31.
《서점의 시대》(강성호, 나무연필, 2023)는 우리나라에 책집이라는 곳이 어떻게 움터서 오늘날에 이르렀는가 하고 가볍게 훑는 얼거리입니다. 다만, 예나 이제나 책집이 얼마나 어느 곳에 있었는지는 알기가 어렵습니다. 우리나라는 책집을 눈여겨보지 않기도 했고, 나라에서는 미워하거나 괴롭히기까지 했습니다.
진작에 책을 새기거나 찍는 솜씨가 빼어난 한겨레였어도, 정작 임금과 벼슬아치와 글바치는 글힘을 거머쥘 뿐이었어요. 누구나 누릴 글살림이 아닌, 힘꾼이 내려보내는 글담이었어요. 게다가 훈민정음이 태어난 뒤로도 온나라 사람들이 고르게 글빛을 밝히는 길이 아닌, 조선이 무너질 때까지도 몇몇 글바치가 움켜쥐는 글담이 단단하기만 했습니다.
잘 모르거나 지나치는 사람이 많습니다만, 예부터 임금과 벼슬아치와 글바치는 중국글인 한문을 ‘수클·수글’이라 했습니다. 훈민정음은 ‘암클·암글’이나 ‘아해글·아이글’로 여겼어요. 지난날 웃사내는 스스로 거들먹거리면서 중국글을 “숫놈끼리 쓰는 힘”으로 삼은 셈입니다. 곰곰이 보자면 “순이와 아이가 쉽게 익혀서 널리 쓸 만한 훈민정음”을 돌보거나 지킨 사람은 바로 순이와 아이란 뜻입니다. 이처럼 뼈아픈 굴레를 모두 깨뜨리고서 새길을 연 사람이 주시경이에요. 중국글로 붙인 ‘훈민정음’이 아닌, 우리말로 새로 이름을 붙인 ‘한글’을 가다듬고 널리 가르친 때부터 비로소 글눈이 깨어나고 책살림을 여는 길이 섰다고 할 수 있습니다.
‘책집자취(서점 역사)’를 읽자면 ‘한글’부터 제대로 볼 노릇입니다. 한말(우리말)을 한글(우리글)로 담으면서 스스럼없이 누구나 나누던 때부터 우리 책살림을 열었거든요. 그리고 우리 책살림은 새책집보다 헌책집이 어마어마하게 큰몫을 맡았습니다. 가난하지도 배고프지도 않은 이들은 한문으로 적은 중국책과 일본책을 쉽게 사읽었고, 가난하고 배고픈 이들은 조금 허름한 책을 값싸게 장만하는 헌책집에서 배움길을 닦았어요. 그리고 “나라 눈치를 안 보며 조용히 몰래 낸 책”은 새책집 아닌 헌책집에서 돌았습니다. 이른바 ‘비매품’이란 이름으로 낸 ‘독립출판물’과 ‘지역도서·간행물·문집’을 사람들 손에 안긴 곳은 헌책집입니다. 인문사회과학서점이 1980년 뒤로 태어나기 앞서, 또 태어난 뒤로도, 헌책집은 우리 삶터를 밝히는 길목 구실을 톡톡히 오래오래 했어요.
우리나라는 새책집 자취도 제대로 안 남겼지만, 헌책집 자취는 더더구나 거들떠보지 않았습니다. 2004년에 나온 《모든 책은 헌책이다》하고 2006년에 나온 《헌책방에서 보낸 1년》이라는 책이 ‘헌책집 자취’하고 ‘헌책집 벼리(목록)’를 처음으로 담았으니, 우리나라는 참으로 뒤처졌습니다.
그래도 여러모로 애써서 《서점의 시대》를 내놓았구나 싶으나, 빠지거나 없거나 건너뛴 대목이 너무 많아요. “서울에 있던 책집”에 너무 기울었고, 몇몇 인문사회과학책집에 쏠리기도 했어요.
ㅅㄴㄹ
“정부는 무슨 이유로 1985년이라는 시점에 이념서적 파동을 일으킨 것일까(75쪽).”
조선은 금속활자 기술이 일찍이 발달한 나라였지만, 중기까지는 국가가 인쇄를 엄격히 통제하고 책의 제작과 유통도 독점했다. (21쪽)
이성의가 고서 수집에서 고활자본 연구로 나아간 사례라면, 방종현은 연구자로서 고서점을 차린 독특한 사례다. (86쪽)
앞서 식민지 해방은 곧 책의 해방이었다고 했다. 여기서 책의 해방이란 출판의 자유뿐만 아니라 값어치 있는 헌책들이 다시 빛을 보며 되살아나는 것도 포함한다. (92쪽)
+
금속활자 기술이 일찍이 발달한 나라였지만
→ 쇠글 솜씨가 일찍이 발돋움한 나라이지만
→ 쇠글씨가 일찍이 피어난 나라이지만
21쪽
족보를 편찬하는 경우에만 만들어졌다
→ 핏줄책을 엮는 때에만 나왔다
→ 밑뿌리를 여밀 때에만 내놓았다
21쪽
사회운동에 조응하는 활동도 함께 벌여 나갔다
→ 들꽃물결에 발맞추는 일도 함께 벌여 나갔다
→ 너울과 어우러지는 일도 함께 벌여 나갔다
38쪽
시대 분위기에 맞추어 계몽 서적을 중점적으로 출간했다
→ 둘레 흐름에 맞추어 배움책을 눈여겨보며 펴냈다
→ 삶터 물결에 맞추어 깨우침책을 더 내놓았다
44
압수한 뒤 소각할 계획을 세웠다. 결국 이들 책을 전부 불태워 없앴는데
→ 빼앗뒤 불타우려고 했다. 끝내 이 책을 모두 불태워 없앴는데
54
이 사건은 일종의 전초전이었다
→ 이 일은 이른바 맛보기였다
→ 이 일은 그저 첫발이었다
54
폐가식으로 운영했기에 이용자가 직접 책을 골라 볼 수 없었을 뿐더러
→ 빌림칸으로 했기에 사람들이 스스로 책을 골라 볼 수 없을 뿐더러
→ 닫힌칸으로 꾸렸기에 사람들이 손수 책을 골라 볼 수 없을 뿐더러
69쪽
특별 코너의 효시는
→ 도드람칸은 첫발은
→ 첫 빛시렁은
→ 첫 톡톡칸은
13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