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12.28.
《일만칠천 원》
조영옥 글, 작은숲, 2015.6.1.
오늘 하루는 조용히 집에서 쉰다. 바람을 마시고, 물까치떼랑 직박구리를 지켜본다. 귤하고 능금을 바깥에 내놓는다. 우리가 안 쳐다볼 적에 어느새 이 새랑 저 새가 내려와서 콕콕 쫀다. 콕콕 쪼는 모습을 보려고 마루에 살그마니 앉아서 내다본다. 마당에 얌전히 서서 꼼짝을 안 하면서 바라본다. 먼먼 아스라이 먼 옛날부터 사람은 새하고 동무였다. 까마득히 먼 옛적부터 사람은 곰이며 여우에 늑대에 범하고도 이웃이었다. 이제 사람은 누가 이웃일까? 오늘 사람은 이웃을 다 잊지 않았나? 사람 사이에서도 이웃이나 동무가 아닌, 그저 남남이면서 미운털에 가시로 여기지 않는가? 《일만칠천 원》을 읽었다. 힘을 덜기가 어려울는지 모르나, 우리나라는 더더욱 ‘시인이라는 어깨힘’이 너무 세다. 다들 비슷비슷한 낱말(시어)을 쓰는데, ‘엮다·짜다’ 같은 우리말을 모르는지 ‘직조’ 타령을 한다. 살아온 오늘을 보고, 살아갈 모레를 그리고, 살아낸 어제를 되새기는 마음이라면, 누구나 노래님이다. 삶을 삶말로 담는다. 살림을 살림말로 옮긴다. 사랑을 사랑말로 노래한다. 글이란, 이렇게 삶과 살림과 사랑을 오롯이 숲빛으로 여미면 넉넉하다. 꾸미려 하니까 겉치레에 허울이다. 꿈을 그려야 논밭을 일구듯 열매를 거둔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