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뭘 봐? 2022.10.21.쇠



나무 곁에 서서 뭘 봐? 나무를 보니? 저 건너에서 떠드는 소리에 마음을 쓰니? 나비 곁에 앉아서 뭘 봐? 나비를 보니? 네 둘레에서 왁자지껄한 사람들한테 마음을 빼앗기니? 별이 쏟아지는 마당에 서서 뭘 봐? 미리내를 보니? 옆집 불빛을 보거나 마을 앞을 지나가는 부릉이를 보니? 늘 스스로 보렴. 네가 뭘 보는지 생각하렴. 네 눈길·발길·손길·마음길이 어디로 가는지 보렴. 네가 그린 꿈길·살림길·노래길·사랑길을 늘 새롭게 되새기니? 네 모든 ‘하루길’을 잊은 채 다른 곳을 쳐다보거나 구경하느라 바쁘니? 너는 문득 무엇이든 볼 수 있어. 네가 눈을 두는 곳을 마음이 담을 수 있고, 네 눈길이 닿는 모든 곳에 네 숨길을 흩뿌리면서 “사랑이라는 마음씨”를 심을 수 있어. 새가 열매를 누리고 누는 똥은 ‘씨앗심기’란다. 네가 걸어다니면서 흩뿌리는 눈길과, 네가 말을 하면서 흩뿌리는 마음과, 네가 살아가면서 흩뿌리는 생각을, “새가 열매를 누리고서 남기는 씨앗심기”처럼, 늘 뭔가 심을 테지. 넌 뭘 보고 뭘 하고 뭘 심니? 넌 네 하루를 누리고서 네 오늘이라는 자리에 뭘 새기니? 잿빛집(아파트)을 올리는 소리, 놀이터에서 들리는 소리, 지나가는 사람들 말소리, 나무에 앉은 딱새 노랫소리, 바람이 풀잎을 살랑이는 소리, 네 가슴이 뛰고 피와 숨이 흐르는 소리, 네 몸을 둘러싸고서 빛발이 흐르는 소리, 이런 여러 소리 사이에서 무엇에 마음을 기울여? 넌 뭘 보는 하루이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