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척동의 밤 창비시선 71
유종순 지음 / 창비 / 198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3.12.21.

노래책시렁 384


《고척동의 밤》

 유종순

 창작과비평사

 1988.9.10.



  총칼을 휘두르면서 돈·이름·힘을 거머쥔 이들이 남긴 자취는 안 사라집니다. 이들이 벌인 모든 짓은 낱낱이 남아서 두고두고 돌아볼 수 있습니다. 총칼무리한테 맞서면서 새날을 그리던 사람들이 걸어온 길도 안 사라집니다. 이들이 한 모든 일도 오래오래 되새길 수 있습니다. 겉모습을 꾸민들 속낯이 안 바뀝니다. 입발린 말을 잔뜩 붙이면 오히려 민낯이 잘 드러납니다. 1988년에 나온 《고척동의 밤》을 읽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툭하면 “풍만한 여인”을 “안고 싶다”고 읊는 글자락을 어떻게 헤아려야 할까요? ‘저항문학’이 으레 쓰는 꾸밈말이라 여겨야 하는지 아리송합니다. 사슬살이를 하는 순이는 이렇게 빗대거나 꾸미는 글을 쓰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 돌이는 지난날 너나없이 으레 이렇게 글을 써왔습니다. 1970년에서 1980년을 지나고 1990년을 지나며 2000년을 지나는 사이에, 썩은 우두머리를 여럿 끌어내렸습니다. 그 뒤로도 고인물과 썩은물을 꾸준히 갈아치웁니다. 그런데 이제는 누가 고이거나 썩은 물인지 아리송합니다. 총칼질을 가리려 해도 가릴 수 없이 발자취에 남듯, 엉큼질도 고스란히 남게 마련입니다. “제임스 본드처럼 멋진 첩보원이 되어 마음에 안 드는 놈 총알 한 방 먹이기도 하”는 미움씨앗도 글일까요?


ㅅㄴㄹ


자유에 허기져 앓는 나도 꿈을 낳는다 / 거친 황토의 꿈을 낳고 / 미친 바람의 꿈을 낳고 / 풍만한 여인의 꿈을 낳고 / 탈옥수 정씨의 꿈을 낳고 (고척동의 밤/9쪽)


면회실 어머니의 주름진 미소 속에 지핀 / 젖은 눈망울에 미쳐 끝내 미쳐 / 밤이 새도록 울었읍니다 (독방에서/19쪽)


직녀여 / 그대를 안고 싶습니다 / 오작교 건너서 / 돌아오지 않는 다리 건너서 (獄中月令歌/28쪽)


제임스 본드처럼 멋진 첩보원이 되어 / 마음에 안 드는 놈 총알 한 방 먹이기도 하고 / 휴전선을 내 집 드나들듯 넘나들며 / 더러는 북쪽의 여인을 보듬어도 보고 / 그렇게 한바탕 멋지게 살아보겠다고 한다 (獄中月令歌/30쪽)


누워서 밤을 파는 배고픔에 / 밤이면 자궁 깊숙이 가슴 깊숙이 박히는 / 불면의 못 / 첫사랑 아스라한 눈물은 / 한 평 반 양동의 밤을 적시고 / 사태기를 오르내리는 서울의 부처들이 / 이리저리 거덜난 몸뚱이를 헤아리며 / 깨달음을 꿈꾸고 있을 때 (양동 미스 서의 이야기 그것은/68쪽)


기름내 땀내투성이의 찌든 얼굴들을 쓰다듬기도 하고 / 청량리 오팔팔이나 서울역 건너 양동쯤에서 / 스무 해 전 잃어버린 순이를 만나 / 분노에 젖어 흠뻑 울기도 하면서 (비/72쪽)


《고척동의 밤》(유종순, 창작과비평사, 1988)


+


거친 황토의 꿈을 낳고 미친 바람의 꿈을 낳고 풍만한 여인의 꿈을 낳고

→ 거친 흙빛 꿈을 낳고 미친바람 꿈을 낳고 흐벅진 가시내 꿈을 낳고

9쪽


저 담벼락 속 기다림만 남은 지친 신음소리로부터 오지

→ 저 담벼락에 기다리다 지친 끙끙소리에서 오지

13쪽


100촉 백열전등 희뿌연 불면을 밀어내고

→ 100줄 노란불빛 희뿌연 뜬눈을 밀어내고

→ 100빛발 노란불 희뿌옇게 뒤척이다가

14쪽


집사람의 젖은 눈망울만 보면

→ 곁님 젖은 눈망울만 보면

→ 짝지 젖은 눈망울만 보면

16쪽


면회실 어머니의 주름진 미소 속에 지핀 젖은 눈망울

→ 만남뜰 어머니 주름진 웃음에 지핀 젖은 눈망울

→ 이야기칸 어머니 주름진 웃음에 지핀 젖은 눈망울

19쪽


쓰라린 형광등 불빛 아래

→ 쓰라린 하얀불빛에

→ 쓰라리고 흰 불빛에

2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