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주장 2023.12.3.해.
너희는 두 가지 ‘주장’을 말하는구나. 무리를 앞장서서 이끄는 사람인 ‘주장’ 하나에, 무엇보다 앞세우고 싶다는 뜻으로 ‘주장’을 쓰네. 그런데 왜 무리에서 ‘주장’이 되거나, 너희 목소리를 ‘주장’해야 할까? 어느 무리·모임·자리·두레·마을·나라일 적에는 누구나 이끌 수 있을 노릇이야. 저마다 다르게 ‘이끎이’요 ‘앞님’이지. 누구나 살림빛을 읽어내어 ‘길잡이’ 노릇을 할 적에 어느 무리·모임·자리·두레·마을·나라는 아름답고 즐겁겠지. 한두 사람이나 몇몇 사람이 이끄는 대로 우르르 몰리거나 쏠린다면 참으로 가난하고 허술해. 너희가 내는 목소리는 늘 빛날 노릇이야. 어느 한 가지 목소리만 키운다면, 너희 스스로 텅텅 빈수레로 떠드느라 시끄럽겠지. 들판에 심은 나락이 모두 나란한 키여야 할까? 모든 사람이 똑같이 옷을 맞추고 똑같이 말해야 할까? 가만히 보면, 너희는 ‘다 다른 몸으로 사는 사람’인 주제에, ‘모두 똑같이 찍어낸 아파트와 자동차와 손전화와 학교’에 길든 채 지내더구나. 길들었기에 길든 줄 모를까? 길들었기에 길든 줄 알면서 그냥 지나갈까? 집에서는 한집을 이루는 누구나 길눈을 밝히고 말소리를 나누어야 살림을 이루고 이야기를 잇는단다. 배움터(학교)에서는 아이어른이 나란히 이끌고 이야기해야 함께 배우고 익힐 테지. 잘 생각하렴. 너도 네 곁이나 둘레에 있는 모두가 다 다르게 스승이면서 살림빛이란다. 지는 해도 뜨는 해도 그저 해야. 모든 구름은 아주 먼 옛날부터 늘 달랐어. 오늘은 무슨 말을 하겠니? 오늘은 어디를 걸어가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