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시의 일기 - 어느 독립운동가 부부의 육아일기
양우조.최선화 지음, 김현주 정리 / 우리나비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3.11.23.

읽었습니다 269



  그림꽃 《제시 이야기》를 먼저 보면서 고개를 한참 갸우뚱했다. 왜 속 빈 강정 같지? ‘한국판 안네의 일기’ 같은 말은 붙이지 말자. 안네는 푸른철로 접어드는 어린이였고, 《제시의 일기》는 이 나라를 떠나 중국에서 작은집살림(임시정부)을 꾸리는 여러 일꾼 가운데 하나인 어른이었다. 숨막히는 나날이기는 비슷하다지만, 안네는 햇볕조차 쬘 수 없이 다락에 숨어서 살아야 했고, 작은집살림을 하던 분들은 바지런히 바깥일을 보면서 돌아다녔다. 그나저나 《제시의 일기》는 앞뒤로 군글(구태여 덧붙인 글)이 너무 많다. 수수하게 보여줄 글이어야 하지 않을까? 너무 높이려는 티가 아쉽다. 안네하고 구태여 맞댄다면 한결 홀가분하게 햇볕을 쬐며 일하던 분들인데, 어떤 일을 맡고 살림을 꾸렸는지는 썩 드러나지 않는다. 굳이 ‘군글’을 붙이려 했다면, 그무렵 글(독립운동 일기)에 미처 못 담은 여러 속내하고 발자취를 보탤 노릇이었으리라. 지난날 홀로서기(독립운동)에 온힘을 쏟은 분들을 보면 아무런 자취를 안 남기기 일쑤였다. 《제시의 일기》는 돌봄글(육아일기)도 너울글(독립운동 일기)도 아닌, 어정쩡한 글이다. 아쉽다.


《제시의 일기》(양우조·최선화 글, 김현주 엮음, 우리나비, 2019.2.28.)


ㅅㄴㄹ


+


대가족 식솔처럼 희로애락을 함께했던

→ 큰집안처럼 기쁨슬픔을 함께하던

→ 우람집처럼 빛그늘을 함께하던

11쪽


구십을 바라보는 나의 할머니는 조간신문에서부터 시작하여

→ 아흔을 바라보는 우리 할머니는 아침새뜸부터

13쪽


바깥 정세에 의해 오락가락해야 하는 풍전등화 같은 처지이지만

→ 바깥물결에 따라 오락가락해야 하는 바람불 같지만

→ 바깥바람에 오락가락해야 하며 벼랑길 같지만

62쪽


제시의 설사는 오늘로 쾌차되었다

→ 오늘 제시는 물똥이 나았다

63쪽


태산준령을 그 몇 번이나 넘어오기에 일행들의 얼굴은 그을리고 검게 되었지만

→ 고갯길을 몇 판이나 넘어오기에 다들 얼굴은 그을렸지만

→ 높메를 숱하게 넘어오기에 모두 얼굴은 그을렸지만

78쪽


아직까지도 제시의 배탈이 완쾌되지 않아

→ 아직까지도 제시는 배앓이가 안 나아

9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