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11.2.


《임계장 이야기》

 조정진 글, 후마니타스, 2020.3.30.



아침부터 안 서늘하다. 아니, 좀 덥다. 가을볕에 빨래가 일찍 마른다. 두바퀴를 달려 나래터를 다녀온다. 서울에 대면 티끌이라 하겠으나, 시골에도 쇳덩이(자동차)가 너무 많다. 갈수록 시골에 쇳덩이가 넘실댄다. 더구나 이제 나라에서는 ‘전기쇳덩이’를 장만하는 사람한테 돈을 크게 대준다. 걸어다니거나 두바퀴를 달리는 사람한테 ‘푸른삯(친환경보조금)’을 주어야 옳지 않을까? 쇳덩이에 돈을 보태면서 허울로 ‘친환경’을 외치는 나라이다. ‘친-’을 붙인 굴레가 아닌, 그저 ‘푸른-’ 살림을 서울에서는 ‘마당 있는 골목집’으로 꾸리면 되고, 시골에서는 그저 시골집 둘레를 보금자리숲으로 돌보면 된다. 《임계장 이야기》는 아주 조용히 사라졌다. 왜 사라져야 했는지 ‘한겨레·경향·오마이’는 아예 입조차 벙긋 않는다. 그들은 그럴 만하다. ‘임옥상 성추행’도 ‘주호민 막짓’도 입벙긋을 안 하는걸. 글감(소재)을 ‘여린이 쪽(약자 편)’에 서서 다루기에 ‘좋은책’일 수 없다. 숱한 글바치(교수·작가)는 ‘책을 읽을 틈이 없는 가난하고 작은 사람’이 읽을 수조차 없는 엉터리에 어려운 글발로 책을 쓴다. 예순 살이 넘도록 가난한 적도 힘든 적도 없던 이가 ‘글감만’ 붙잡았대서 가난한 쪽에 섰다고 할 수 있겠는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