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게 개인 듯 싶더니 오지게 쏟아붓는 장대비가 뒤죽박죽 되풀이되는 요즈음. 어제도 마찬가지로 지붕을 뚫을 듯 퍼붓다가 확 개더니, 다시 이슬비가 뿌리고. 오늘은 아침부터 찌뿌둥했는데, 아홉 시를 넘기고 열 시가 되니 파란 하늘이 드러나고 뭉게구름과 새털구름까지 보입니다. 오늘은 괜찮을까? 걱정스럽지만 오래도록 이불과 담요를 말리지 못했기에 하나씩 꺼내어 탁탁 턴 뒤 담장에 걸쳐서 말립니다.

 저녁이 되어 하루일을 마치고 잠들 무렵이면 방온도는 28도에서 더 떨어지지 않아 땀이 흐르거나 끈적끈적. 지금이 여름이라 그렇다지만, 무더운 여름도 바람이 시원한 여름도 아닙니다. 바람이 불면 창문을 깰 듯 휘몰아치는 돌개바람이고, 개고 흐리기가 되풀이되는, 어쩌면 벌써 인천땅까지 아열대 날씨로 바뀌어 버린지도.

 날씨를 보는 우리들은 참 이상하다고 느낄지 모르지만, 예부터 이어온 날씨가 아니라 도시 문명을 듬뿍듬뿍 쓰는 가운데 우리 스스로 바꾸고 만 날씨입니다. 계급사회가 수백 수천 해 이어오면서 일자리와 차림새와 돈과 신분에 따라 푸대접이 깊이 뿌리내리고 말아 뽑아내기 어렵게 되었듯이, 일제강점기 서른여섯 해를 거치며 우리 사회와 삶 구석구석 얄궂은 찌꺼기가 속속들이 배었듯이, 독재정권이 쉰 해 가까이 나라를 옥죄면서 우리 마음과 생각과 몸가짐이 병들거나 뒤틀려 버렸듯이, 지금 우리는 또다른 모습으로 우리 삶터와 삶을 흔들고 있습니다. 흔들면서 흔드는 줄 모르고, 흔들리는 땅덩이를 우리 살갗으로 안 느끼거나 못 느낍니다.

 “어떤 책을 읽으시나요?” “네, 저는 저한테 좋은 책을 읽습니다.” “그러면, 어떤 책이 좋은 책인가요?” “제 마음에 드는 책이 좋은 책이지요. 제가 읽어서 제 자신을 돌아보게 해 주는 책이요.” “자신을 돌아본다는 이야기는 어떤 것인가요?” “제 좋은 모습과 나쁜 모습을 있는 그대로 느끼게 하면서, 제가 발딛고 살아가는 이 땅과 이웃을 있는 그대로 살필 수 있게 해 주는 일입니다.”

 새책방 나들이를 하노라면, 잔뜩 쌓아 놓은 베스트셀러와 ‘신간코너’ 책이 가장 많이 팔리는구나 싶고, 갈래에 따라 나눈 칸 책은 손길을 거의 못 타지 싶어요. ‘많이 읽히는 책’이냐 아니냐가 책을 고르는 잣대처럼 되었다고 느낍니다. 헌책방 나들이를 할 때에도, 사람들이 흔히 찾는 책은 ‘좀더 알려진 책’이거나 ‘새책으로 사자니 돈이 아쉬운 책’이기 일쑤입니다. 헌책방 나들이를 하면서, 자기 손이나 옷에 책먼지가 묻든 말든 아랑곳하지 않고 책더미를 하나하나 살피고 책시렁을 헤집는 사람이 드뭅니다. 생각해 보면, 자기 사는 동네에 헌책방이 있는지 없는지 알아보지 않으며(새책방도 마찬가지), 어쩌다가 알아보았다고 하더라도 ‘헌책방(또는 작은 동네책방)에 무슨 볼 만한 책이 있어?’ 하면서, 들어가 구경할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들은 어떤 책을 찾기에 그럴까요. 우리들은 어떤 책을 읽어야 좋기에 그럴까요. 지난주에 《슬픈 미나마타》(달팽이)를 사서 읽고 있습니다. (4340.8.16.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