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10.22.
《울고 들어온 너에게》
김용택 글, 창비, 2016.9.9.
구름이 몰려들어 실비를 뿌리는 듯싶다가도 사라지고 바람이 남는다. 매울음이 퍼진다. 아주 어릴 적에 보던 매를 다시 만날 줄 몰랐다. 열 살 언저리에 마을 아저씨가 사냥을 하러 갈 적에 으레 따라다녔다. 나한테는 마을 아저씨이지만 ‘수중폭파대 + 북파간첩’을 하신 분이었다. ‘북파공작’을 하고 돌아오는 길에 동무가 다리에 총이 맞아서 어깨를 끼고서 살리려 했으나 동무가 아저씨더러 혼자 얼른 달아나라 했고, 어찌할 바를 모르던 때에 총알이 비오듯 쏟아지며 동무가 폭 고꾸라졌다지. 그날 뒤로 넋이 나가 일찍 싸울아비를 그만두었고, 날마다 소주 석 병씩 비워도 동무 주검이 보인다며 울었다. 오늘은 고흥읍으로 가서 ‘노래꽃수다(시창작교실)’ 막바지를 이끈다. 고흥 곳곳에 버려지듯 남은 빈터를 살리는 길이란 뭘까? 돈만 있대서 문화예술을 키우지는 않는다. 사람을 아끼고 숲을 품는 사랑일 때라야만 비로소 시골이 깨어난다. 《울고 들어온 너에게》를 읽으며 허전했다. 말잔치 같더라. 이쁘고 좋은 말을 요모조모 기운 듯하다. 안 이뻐도 되니, 삶빛과 살림냄새가 나는 글을 쓸 수 없을까? 투박해도 되니, 손수 일구는 하루와 집안일을 맡는 이야기를 그릴 수 없을까? 매사냥을 하던 마을 아저씨 울음을 문득 떠올린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