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효용가치



 경제적 효용가치가 충분하다면 → 값나간다면 / 값있다면 / 값어치가 있다면

 실제로 효용가치가 존재하는지부터 → 참말로 쓸 만하지부터

 국어에서의 효용가치를 판별한다 → 우리말을 빛낼 만한지를 따진다

 효용가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방법 → 꾸준히 빛나는 길 / 오래 쓰는 길


효용가치 : x

효용가치설(效用價値說) : [경제] 재화의 가치는 소비자의 주관적 효용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이론 ≒ 효용설

효용(效用) : 1. 보람 있게 쓰거나 쓰임. 또는 그런 보람이나 쓸모

가치(價値) : 1. 사물이 지니고 있는 쓸모



  한자말 ‘효용’이나 ‘가치’는 우리말로 ‘쓸모’를 가리키기에, ‘효용가치’라 하면 겹말입니다. 수수하게 ‘쓰임·쓰임새·쓸모’나 ‘쓸만하다·살뜰하다·알뜰하다’라 하면 되어요. ‘보람·빛·빛나다·빛살·빛발’이나 ‘값어치·값결·값’로 나타낼 만하고, ‘값있다·값지다·값나가다·값가다’라 해도 되어요. ㅅㄴㄹ



물론 이 ‘체면 경쟁’에는 낭비적이고 효용가치가 떨어지는 부분이 존재한다

→ 다만 이 ‘얼굴 겨루기’는 헤프고 쓸데없는 구석이 있다

→ 다만 이 ‘이름 다툼’은 돈을 마구 쓰고 부질없는 구석이 있다

《탈향과 귀향 사이에서》(허쉐펑/김도경 옮김, 돌베개, 2017) 71쪽


즉 둘리를 그대로 놔두는 것은 효용가치가 있다는 것인데

→ 곧 둘리를 그대로 두면 쓸모가 있다는 말인데

→ 그러니까 둘리를 놔두면 빛이 난다는 셈인데

→ 둘리를 놔둘 만한 쓰임새가 있다는 소리인데

《만화웹툰작가평론선 : 김수정》(장은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8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