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9.28.
《하프와 공작새》
장준영 글, 눌민, 2017.4.28.
아침에 고흥 도양읍 마을책집 〈더바구니〉로 간다. ‘고흥작가 책전시’를 하기로 했다. 숲노래 씨가 고흥에서 살아가며 쓴 책을 주섬주섬 챙겼고, ‘빛깔노래’ 열두 자락을 천에 옮겨적는다. 고흥읍을 거쳐 살짝 저잣마실을 하고서 15시 30분 시골버스로 봉서마을에서 내려 들길을 걷는다. 집에 닿으니 “오늘 일산 할아버지가 몸을 벗었다”는 얘기를 들려준다. 이제 홀가분하시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미움도 불길도 아닌, 오직 환하게 웃음짓는 날개몸으로 피어나시기를 바란다. 부랴부랴 길을 알아보니 이튿날 이른아침에 순천-용산 칙폭길이 있다. 새벽택시를 타고서 일산으로 건너가야겠구나. 《하프와 공작새》를 읽었다. 몇 해 앞서 읽고서 한켠에 쌓았다. ‘미얀마 현대 정치 일흔 해’를 두 낱말로 뭉뚱그릴 수 있다고 하는데, 글바치(교수·작가)는 수수한 사람들 일흔 해 살림살이는 눈여겨보지 않기 일쑤이다. 벼슬꾼이나 우두머리가 이러쿵저러쿵 찧고 빻은 발자취는 뭐가 대수로울까? 벼슬판을 쳐다보느라 정작 삶·살림·사랑·숲은 등지더라. ‘미얀마 숲살림 일흔 해’라든지 ‘미얀마에서 아이돌보기’ 같은 줄거리로 삶빛을 들여다본다면, 서로 이바지하리라. 그러니까 “우리 숲 이야기”에 “우리 아이돌봄 수다”부터 쓸 일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