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적이지 않는 꽃의 질서 시산맥 기획시선 94
문젬마 지음 / 시산맥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2023.9.30.

노래책시렁 338


《북적이지 않는 꽃의 질서》

 문젬마

 시산맥

 2023.2.28.



  “짓는 사람”을 한자말로 옮기면 ‘작가’입니다. 지을 줄 알면 누구나 ‘지음이(작가)’입니다. 글이나 그림을 지을 뿐 아니라, 그림꽃(만화)하고 빛꽃(사진)을 짓는 사람도 지음이예요. 옷을 짓고 밥을 짓고 집을 지을 적에도 지음이요, 삶을 짓고 살림을 짓고 사랑을 지을 적에도 지음이입니다. 우리는 언제 밥옷집을 지을까요? 우리는 어떻게 삶·살림·사랑을 짓는가요? 아직 본 적이 없는 것을 처음으로 내놓기에 ‘짓다’이지 않습니다. 삶을 이루는 살림을 사랑이라는 빛으로 펴서 내놓기에 ‘짓다’입니다. 《북적이지 않는 꽃의 질서》를 읽었습니다. 겨울 끝자락인 2월은 잣나물이 돋아 밥살림을 북돋우고, 가을 한복판으로 접어드는 10월은 겨울을 앞두고 숱한 들풀이 마지막으로 꽃송이를 피우면서 씨앗을 남기려 합니다. 나무나 새나 꽃이나 나비는 북적이는 일이 없습니다. 스스로 깨어날 때를 그리면서 느긋이 기다리고 노래합니다. 사람들은 늘 북적입니다. 저잣판을 이루고, 부릉부릉 쇳덩이를 들이밀고, 자꾸 거머쥐려고 다투기까지 합니다. 우리말 ‘살림꾼’이 있으나 ‘일(직업)’에는 안 들어갑니다. 한자말 ‘주부·가정주부’도 일로 치지 않습니다. ‘지음 = 일(일다) = 물결·바다·바람’입니다. 지음꽃을 돌아봅니다.



고개 처박고 / 술만 퍼마셨다 // 부러질 듯 부러질 듯 무거운 목이 아슬아슬했다 // 게워도 게워도 몹쓸 그 사내 비워지지 않았다 // 넘치는 곳은 하수구만이 / 아니었다 (수국여자/38쪽)


평소에 못 한 말 // 쌓이고 쌓인 말 // 실컷 퍼부었다 // 달라진 건 끝끝내 // 아무것도 없었다 (소나기/103쪽)


+


《북적이지 않는 꽃의 질서》(문젬마, 시산맥, 2023)


선물 상자 언박싱 나도 좋아한다는 것

→ 꾸러미 열기 나도 좋아한다

→ 받은 꾸러미 뜯기 나도 좋아한다

19쪽


신생아실에서 처음 잡았다

→ 아기칸에서 처음 잡았다

36쪽


나의 가장 사랑하는 희고 검은 이율배반의 너

→ 내가 가장 사랑하는 희고 검게 뒤틀린 너

→ 가장 사랑하는 희고 검게 멋대로인 너

7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