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9.19. 길 1∼5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우리말 ‘길’은 적어도 다섯 갈래로 나누어서 씁니다. 다만, 이 대목을 눈여겨보거나 들여다보는 분은 매우 적어요. 여러 해째 《손질말 꾸러미》를 추스르는데, ‘길’을 ‘길 1∼5’로 갈라 놓지 않은 줄 뒤늦게 알아차렸습니다. 하나하나 고치는 품이 꽤 들지만, 하나하나 고치면서 말빛을 새삼스레 돌아봅니다. ‘길 1’이든 ‘길 2’이든 ‘길 3’이든 쓰임새가 넓습니다. 숱한 삶자리를 ‘길’로 그리는 말살림이요 말길이에요.


  우리나라에서 우리말꽃(국어사전)을 날마다 들추면서 스스로 말빛을 다독이는 분은 그리 안 많습니다만, 그래도 제법 있어요. 우리는 국립국어원이나 네이버·다음에서 손쉽게 낱말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만, 세 곳에 뜨는 말풀이는 하나부터 열까지 엉터리에 엉망진창입니다. 그리고 이 엉터리에 엉망진창을 거의 못 고치거나 안 고칩니다. 손을 못 대지요.


  모든 낱말을 담으려고 하면 어그러집니다. 낱말 하나를 담더라도 제대로 담으려고 마음을 기울일 적에 비로소 차근차근 알차면서 푸진 길을 갈 수 있어요. 비록 ‘사전다운 사전이 없다’고 하더라도 아쉬워 말고, ‘스스로 뜻풀이를 하면서 스스로 사진 엮기’를 하면 됩니다.


  모든 글(시·소설·수필)은 ‘낱말(이름·제목)’ 하나를 놓고서 이야기를 풀어내는 얼거리입니다. ‘길’을 찾아가려고 하루를 ‘그리’면서 담아내는 ‘글’입니다. 그래서 꾸밈결(수사법)은 덧없어요. 터럭만큼이라도 꾸미려 하면 글이 아닌 허울입니다. 티끌만큼도 꾸밀 까닭이 없이 우리 삶을 스스로 담으면 어느새 활짝 피어날 글입니다. 삶길이 글길이고, 살림길이 말길입니다. 숲길이 사랑길이고, 사람길이 새길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