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3.9.12.

숨은책 860


《文鳥樣と私 7》

 今市子 글·그림

 靑泉社

 2009.5.14.



  시골에서 살아가며 새를 키우지는 않습니다. 들풀이 푸르게 우거지는 뒤꼍에, 나무가 가지를 마음껏 뻗는 마당을 누립니다. 이러한 보금숲을 이루니 풀벌레가 넉넉히 깃들고, 어느새 뭇새가 신나게 찾아들거나 둥지를 틉니다. 새는 풀벌레랑 애벌레랑 거미도 즐기지만, 꽃송이하고 열매도 즐깁니다. 밥살림을 챙긴 새는 으레 노래를 남깁니다. 나뭇가지에 앉아 노래하고, 하늘을 가르며 춤추는 새입니다. 《文鳥樣と私 7》을 일본판으로 장만했습니다. 2023년까지 어느새 스물한걸음이 나오는데, 틈틈이 일본판으로 갖춥니다. 2005년까지 《문조님과 나》라는 이름으로 여섯걸음이 한글판으로 나왔으나, 더는 안 나옵니다. 새를 아끼는 사람이 늘고, 새바라기를 하는 사람이 늘지만, 어쩐지 ‘새를 다루는 책’은 썩 읽히지 않는 듯싶습니다. 그런데 새를 아낀다거나 새바라기를 하는 분은 으레 서울내기(도시인)예요. 여러 시골내기도 새를 아끼거나 새바라기를 하지만, ‘사람 먹을 열매’를 너무 쫀다며 싫어하기 일쑤입니다. 새가 살아갈 터전을 자꾸 빼앗고, 새가 스스로 먹이를 찾을 숲들바다를 자꾸 망가뜨리는 사람인데, 정작 새가 배를 곪다가 열매를 조금 쪼거나 훑어도 나무랍니다. 새를 이웃으로 두지 않으면서 사람빛을 잃어갑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