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숨은책시렁 104
《스탬프 군의 우표교실》
데라오 도모후미 글·그림
우문관 옮김
한국우취출판사
1980.2.16.
이제 손으로 글월을 적어서 부치는 사람이 드물지만, 1995년 즈음까지는 셈틀로 누리글월을 주고받는 사람이 드물었어요. 으레 손으로 종이에 글을 적은 종이글월을 나누었어요. 우리 아버지는 어린배움터(국민학교) 길잡이로 오래 일했는데, 우리 집에 오는 글월이 퍽 많았어요. 웬만한 가게마다 나래꽃(우표)을 다루었고, 나래꽃을 사오는 심부름을 자주 했어요. 시나브로 나래꽃을 모았습니다. 글월 겉종이에서 어떻게 떼어내느냐를 배우려고 이모저모 알아보았습니다. 처음에는 겉종이를 물에 푹 담가서 떼었다면, 나중에는 나래꽃 자리만 오리고 물에 담가서 떼었어요. 1984년 어느 날 나래꽃집(우표상)에서 《스탬프 군의 우표교실》을 빌려서 읽었어요. 해·달·날이 찍힌 테두리를 살려서 오리다가, 이렇게 나래꽃만 오리기보다 글월 겉종이가 통째로 있을 적에 삶자락 발자국을 헤아리기에 나은 줄 배웁니다. 어릴 적(1984년)에는 2500원이란 값이 엄두가 안 나서 빌려읽은 《스탬프 군의 우표교실》인데, 어른이 되어 헌책집에서 문득 보여 반가이 장만하고서 책자취(간기)를 보니, 쪽종이를 붙여서 책값을 올리고 ‘지은이’ 이름을 숨기는군요. 왜 이렇게 해야 했을까요? 굳이 이러지 않아도 될 텐데. 머리말에는 일본에서 나온 책이라고 밝히면서 책자취에는 굳이 숨기는 모습이 오히려 창피합니다. 아니, 우리 손으로 우리 나래꽃 이야기를 수수하게 펼 줄 모르던 지난날 어른들 손길이 더 창피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