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 번째 사진 전시회를 준비하며

 : 사진잔치 - 헌책방 이야기 9



 한 사람 손을 거친 책이 모여 새 사람 손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열어 놓은 자리가 헌책방입니다.

 저마다 자기가 좋아하는 책을 새책방에서 사기도 하고, 비매품 회원자료로 엮어서 나누기도 합니다. 어떤 책은 꼼꼼히 다 읽고, 어떤 책은 미처 못 읽습니다. 오래오래 간직하고픈 책이 있는 한편, 이제는 짐더미가 되어 버린 책이 있습니다. 읽으며 밑줄을 긋기도 하고, 빈자리에 자기 생각을 적기도 합니다. 때때로 사진을 꽂아 놓다가 잊고, 돈이나 도서상품권이나 꽃잎을 끼워 놓기도 합니다. 책갈피 삼아 광고전단지를 쓰기도 하는데, 세월이 흐른 뒤 펼쳐보다가 ‘아, 예전에는!’ 되새기기도 합니다.

 주머니 가벼운 학생들이 새책 못 사 아쉬운 마음을 달래기도 합니다. 주머니가 넉넉하지만 살림돈 아끼자고 찾아오기도 합니다. 도서관에도 없고 판끊어진 책을 찾아서 다리품을 팔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찾아서 쥐어들 수 있는 헌책은, 누군가 제 주머니 털어서 산 책이기에, 자기한테 보물이 되는 그 책을 선선히 내놓아 주어야 우리들이 만납니다.

 책을 사들여 책꽂이를 꾸밀 수 있습니다. 줄거리를 곰삭여 마음에 채울 수 있습니다. 온몸으로 받아들이고 옮겨내어 세상에 펼칠 수 있습니다. 어떤 이한테는 값싼 잡지를, 어떤 이한테는 교재와 참고서를, 어떤 이한테는 판끊어진 보기드문 책을, 어떤 이한테는 새책으로는 비쌌으나 헌책으로는 싼 책을, 어떤 이한테는 마음을 살찌우는 작은 책을, 어떤 이한테는 지식을 넘어선 슬기를 일깨우는 조촐한 책을, 어떤 이한테는 처세에 쓸 수 있는 책을 만나는 헌책방입니다.

 헌책은 값이 싸기도 하고, 값이 비싸기도 합니다. 헌책은 2007년 7월 15일에 펴낸 책이기도 하고, 200년 앞서 나온 책이기도 합니다. 모든 책은 헌책이자 새책입니다. 모두 같은 책입니다. 모든 책방은 헌책방이자, 새책방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