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 골목이 품고 있는 것들
김기찬 사진, 황인숙 글 / 샘터사 / 2005년 7월
평점 :
절판
숲노래 사진책 / 사진비평 2023.8.15.
사진책시렁 123
《그 골목이 품고 있는 것들》
김기찬 사진
황인숙 글
샘터
2005.7.25.
앞으로 어느 누구도 김기찬 님처럼 골목을 담을 수는 없습니다. 그런데 골목은 그저 골목일 뿐 아니라, 골목빛은 ‘마실이웃’이 아닌 ‘골목사람’이 스스로 담아내면 됩니다. 이제까지 나온 거의 모두라 할 ‘골목을 담은 빛꽃’은 ‘골목사람’이 아닌 ‘골목밖 이웃사람’이나 ‘잿집(아파트) 구경꾼’이 마실을 따로 해서 찍었습니다. 김기찬 님도 ‘골목사람’ 아닌 ‘잿집 구경꾼’이었지만, 천천히 녹아들려 하면서 어느새 ‘이웃사람’으로 섰기에 《그 골목이 품고 있는 것들》 같은 꾸러미를 선보일 만했어요. 다만, ‘이웃’에서 멈추었기에 그만 ‘골목글’이 아닌 ‘잿글(아파트 눈썰미로 바라본 글)’한테 토막을 쳐서 자리를 내주고 말아요. 골목을 다루는 이야기라면, 골목빛으로 찰칵 담고서 골목살림으로 슥슥 적으면 됩니다. ‘예전에 골목에서 살았던 사람’이 찍거나 쓰는 이야기가 아닌 ‘오늘 골목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찍거나 쓰는 이야기일 적에 “그 골목”이 아닌 “우리 골목”이나 “이 골목”을 노래합니다. 아주 쉽습니다. 왜 “이 골목”이 아닌 “그 골목”이겠어요? 먼발치에서 구경했다는 뜻입니다. 스스로 골목에서 살아 봐요. 글도 그림도 빛꽃도 그저 다릅니다. 더구나, 스스로 골목사람이라면, 책 뒷자락에 넣은 “좁고 누추한 듯 보이지만 한없이 넓고 풍성한 세계” 따위를 안 읊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